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1,533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4] 7일부터 생리의학상…노벨상만큼 값진 과학상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아벨상 수상자 중 유일한 여성 수상자는 2019년 캐런 울렌백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교수
다. 또 다른 수학상에는 필즈상이 있다. 수학에서 탁월한 업적을 세운 만 40세 이하 젊은 수학자를 대상으로 국제수학연맹(IMU)이 수여하는 수학계 최고 권위의 학술상이다. 4년마다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 ... ...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후 사망률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고대안암병원은 김신곤 내분비내과
교수
, 김경진
교수
연구팀이 박영주 서울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갑상선암 과잉진단 논란 후 갑상선암의 사망률 변화를 분석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2005~2018년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갑상선암 환자 43만4228명의 갑상선암 관련 사망률 ... ...
'앗 뜨거워' 전자기기 발열 문제 해결할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제어해 스핀파 전달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최초로 제시한 것이다. 연구를 이끈 진
교수
는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는 차세대 정보 전달 기술 개발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 연구의 의의를 전했다. 논문 1저자인 박상준 포스텍 박사후연구원은 “기존의 한계를 극복한 이 ... ...
日서 최고 자리에 오른 과학자가 한국으로 돌아온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단장은 지난달 리켄 수석과학자와 도쿄대 응용화학과
교수
직책을 내려놓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은 한국 과학계에 상존했던 큰 고민거리인 상황에서 김 단장의 한국 복귀 소식이 고무적이었다. 리켄은 일본에 노벨상 다수를 안겨준 세계적인 ... ...
망상·환청 부르는 조현병 정복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뇌에서 일어난 2가지 이상 현상 탓 톈싱 뉴욕대 중국 상하이캠퍼스 신경·인지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뇌파를 연구해 조현병 환자들이 겪는 환청 발생 이유를 확인했다고 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PLOS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조현병으로 환청 증상이 나타나는 환자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 ...
눈과 얼음의 남극 풍경, 초록빛으로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남극의 급격한 생태계 변화에 우려를 표했다. 토마스 롤랜드 영국 엑서터대 지리학과
교수
가 이끈 연구팀이 영국 하트퍼드셔대, 남극조사원(BAS)과 공동연구를 통해 남극의 녹지 면적이 지난 40년간 10배 이상 증가했으며 녹지화 속도도 점점 빨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4일(현지시간) ... ...
의대
교수
들 "의대생 휴학 승인 거부는 반헌법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서울대를 시작으로 확산 조짐을 보이자 이같이 조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의대
교수
단체는 성명에서 "휴학은 개인 사정이나 부득이한 사유 등 개인 자유의사에 따라 신청할 수 있다"며 "다수가 신청했다고 휴학을 허락할 수 없다는 규정은 없다"고 강조했다. 만약 학생들이 수업을 듣더라도 문제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균의 바이러스 방어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세균이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는 메커니즘을 발견했다. 스턴버그
교수
연구팀은 역전사 효소가 RNA 주형을 사용해 새로운 유전자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반복성 개방형 해독틀’ 신 단백질 발현이 유도된다는 점을 발견했다. 개방형 해독틀은 단백질로 번역될 수 있는 DNA나 RNA ... ...
"암흑물질 'DFSZ액시온' 연구 2팀 중 한 팀은 한국…발견만 하면 노벨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0.06
만에 세계 최고 수준의 결과를 낸 것이다. 또 다른 연구 결과는 김진의 경희대 명예
교수
가 탐색해야 하는 범위를 제시한 KSVZ 액시온을 고주파수 영역에서 최소 수준으로 탐색한 성과다. 최근 연구는 액시온의 질량이 20~30µeV, 주파수로는 4.8~7.25GHz 영역에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연구단은 기존 ... ...
의심사고 766 건 , 인정은 0건?…자동차 급발진 존재할까
과학동아
l
2024.10.05
합니다. 과학적 증거보다 대중의 관심을 원하는 이들이 만들어내는 공포감이니까요." 이
교수
는 조언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10월호, [현장취재] 의심사고 766 건 , 인정은 0건? 자동차 급발진 존재할까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