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뉴스
"
다리
"(으)로 총 1,64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영화 속 뒤뚱거리는 우주인의 걸음걸이에 대한 고찰
2014.09.21
걸음걸이 속도가 ‘팔과
다리
의 회전 효과’ 때문일 거라고 설명했다. 움직이면서 팔
다리
를 앞뒤로 회전하는 동작이 가속도를 만든다는 것이다. 지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중력 때문에 이런 동작이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중력이 작은 달에서는 발이 지면을 밀고 나갈 때 몸동작이 작은 ... ...
“과학기술 사업화 수익의 40%는 연구자의 몫”
2014.09.21
그는 국내 기업과 합작해 한국과 중국의 과학기술자, 창업가들이 서로 교류할 수 있는 ‘
다리
’를 구상하고 있다. 눈에 보이는 기관을 설립할 뿐만 아니라 1억 달러(약 1043억 원) 규모의 펀드도 마련할 계획이다. 한국에 대한 애정을 표현한 그는 마지막으로 한국의 창조경제가 더 큰 성과를 내기 ... ...
펭귄 얼굴은 다 똑같은데, 사람 얼굴은 다 다른 이유는?
2014.09.17
유전자 특성이 다른 신체 부위와는 분리돼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덕분에 팔
다리
가 길다고 해서 긴 코, 긴 얼굴이 만들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생존에 불리한 특성을 가진 객체는 사라지고 유리한 특성을 갖는 객체만 살아남는 ‘자연선택’이 반대로 작용했다는 사실 역시 밝혀졌다. ... ...
티라노사우루스 때려 눕힌 거대 공룡이 사실은 수영 선수?
2014.09.15
연구팀이 복원한 스피노사우루스 성체의 골격도. - 시카고대 제공 스피노사우루스는 뒷
다리
뼈의 구조도 특이하다. 마치 펭귄의 뼈처럼 뼈 속 빈 공간(골수강)이 없고 발톱도 납작한데, 이런 특징도 헤엄치기에 유리하다. 이밖에 목과 꼬리가 유난히 긴 점도 수영 선수로는 좋은 체형이며, 코가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이거나 회갈색(이건 좀 그렇다)으로 기억하는데, 이번 풀무치 떼는 등이 시커멓고 배와
다리
가 적갈색이라서 꽤 징그럽다. 도대체 해남의 메뚜기 떼는 어디서 왔을까. 또 풀무치라는데 왜 몸의 색깔이 이렇게 다를까. 혹시 환경오염으로 유전적 변이가 일어난 ‘괴물’일까. ○무질서에서 ... ...
영하 50도 북극엔 인공섬…6000m 심해엔 유인 잠수
2014.08.29
●북극항로 헤치는 쇄빙·내빙 수송선 최근 북극항로가 개척되면서 극지로 가는 ‘
다리
’ 역할을 하는 쇄빙 수송선도 필수 기술로 꼽힌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극지연구소가 운영하는 쇄빙선 아라온이 있다. 하지만 아라온은 과학 탐사와 연구용으로 최적화돼 있어 천연 자원이나 수출용 ... ...
여기는 몽골 고비사막, 공룡이 꿈틀댄다
과학동아
l
2014.08.29
있는 중요한 화석도 있었다. 한국 측 참가자 송정현 씨는 경사진 지층에서 거대한 공룡
다리
뼈와 발바닥뼈를 찾았다. 한국보다 아마추어의 참여 전통이 긴 일본에서는 2011년 학계를 놀라게 한 세계 최대의 공룡알 집단산란지 화석을 일반인이 처음 발견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고생물학 ... ...
물고기는 땅에서 살 수 있을까, 없을까
2014.08.28
두 개를 마치
다리
처럼 세워 땅을 딛고 다녔다. 그리고 이동할 때도 지느러미를
다리
처럼 사용하고 뱀처럼 몸과 꼬리를 격렬하게 움직여 힘을 실었다. 연구팀이 이들을 해부한 결과 두 그룹은 몸속 뼈에서도 다른 형태가 나타났다. 특히 물고기의 머리와 가슴지느러미의 움직임과 관계있는 ... ...
암 진단과 치료를 한 번에
2014.08.19
유방암 조직에 구리수송체 유전자를 전달해 구리수송체가 많이 생기게 한 뒤 생쥐의
다리
에 이식했다. 이 생쥐에게 ‘구리-64’라는 방사성 물질을 주사하고 의료 영상기기인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을 이용해 이 물질이 암세포에 모여든 모습을 촬영했다. 그 결과 PET 영상에 암세포의 크기와 ... ...
[수도권]“로봇도시 하면… 이젠 부천입니다”
동아일보
l
2014.08.18
뒤 반환점을 돌아 상대보다 먼저 출발지로 돌아오는 게임이다. 학생들은 로봇 팔과
다리
의 움직임을 미리 프로그램화하여 입력해 놓고 현장에서 속도와 강약을 조절하느라 진땀을 빼고 있었다. 경기 진행을 총괄하는 김형영 매니저는 “학생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로봇을 통해 구현해 보고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