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다음"(으)로 총 2,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2019.12.26
- 운동량(속도와 질량의 곱)과 관성물체 고유의 저항하는 힘) 등을 계속 정의한다. 정의 다음에는 ‘공리, 즉 운동법칙’이 나온다. 우리에게 익숙한 세 개의 운동법칙이 차례로 등장한다. 제1법칙은 관성의 법칙으로,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모든 물체는 원래의 운동 상태를 유지한다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2019.12.25
- 논문에 따르면 얼음의 가장 바깥 표면에 존재하는 물분자 층은 영하 70℃에서 녹고 그다음 층도 영하 20℃에서 녹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하 20℃의 혹한에서도 얼음 표면의 두 층은 액체 상태라는 말이다. 여기에 압력과 마찰열이 더해지면 더 많은 층이 액체가 된다. 이처럼 사전용해와 압력,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대인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관계2019.12.21
- 여기는 관계는 무엇일까? 사람들이 흔히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적 목표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자기 보호 : 위험한 사람들로부터 안전을 도모 질병회피 : 감염의 위협으로부터 몸을 사림 소속: 팀이나 집단의 일원으로 소속되고 싶어함 친밀감: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과 함께 ...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2019.12.21
- 제안된 바 없지만, 조금만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금방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음 편 미리 보기: 오랜 친구 가설 위생 가설이 주는 오해, 그리고 위생 자체가 중요한 요인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은 오랜 친구 가설이라는 말을 쓰는 편이다. 2003년에 제안된 가설인데, 미생물과 염증성 ... ...
- 인공위성 강국을 여는 24명의 엔지니어들동아사이언스 l2019.12.20
- 최선을 다해 주실 수상자와 연구자에게 많은 감사와 격려를 드린다”고 말했다. 다음은 수상자 명단 ◇천리안2A호 유공자 ▽진보장 △천이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근정포장 △선종호(경희대 교수) ▽대통령 표창 △용기력(항우연 책임연구원) △조영호(〃)△이창호(〃) △박종석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2019.12.19
- 있다.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311969 -기본연구비 개념에 대해서는 다음 논문의 도움을 받았다. Ballabeni, A., & Danovi, D. (2018). Advocating a radical change in policies and new models to secure freedom and efficiency in funding of science and 1 communication. The freedom of scientific research: Bridging the gap between science and society.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2019.12.17
- 사람과(科))의 진화 과정을 보면 공통조상에서 오랑우탄이 먼저 떨어져 나가고 그다음에 고릴라와 인간/침팬지 공통조상이 갈라졌다. 인간은 오랑우탄은 물론 고릴라보다도 침팬지에 더 가깝다. 게놈서열 비교에 따르면 그렇다. 그럼에도 우리가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건 불과 수백만 년 ... ...
- [인류와 질병] 남성 10명 중 4명 울리는 탈모2019.12.14
- 있다는 식의 이야기다. 하지만 꼭 그렇다면 좋겠다. 오늘도 나는 계속 전진하고 있다. 다음 편 미리 보기┃ 알레르기의 진화 플리커 제공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간 알레르기성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산업화된 국가에서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골다공증치료제·다리수술로 성인도 키 큰다?"동아사이언스 l2019.12.13
- 위험하다. 골연장술은 허벅지나 종아리뼈를 자르고 그 사이를 일리자노프 기기로 고정한 다음, 두 뼈의 간격을 하루에 1mm 안팎으로 늘이면서 다리를 길어지게 하는 수술이다. 원래 이 수술은 두 다리의 길이가 각기 다르거나(하지부동), 심한 사고 등으로 다리뼈에 일부 결손이 있거나, 뼈가 붙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치매 환자가 암이 잘 안 걸리는 이유2019.12.10
- 이상이 돼 복구할 수 없다고 판단하면 자살 프로그램이 가동하게 진화했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암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진화했다는 가설이다. 암은 생리 균형이 깨진 세포들로 이뤄져 있고 따라서 산화 스트레스에 약해 세포막에 지질 과산화물이 축적되기 쉽다. 따라서 이게 신호가 돼 세포가 ... ...
이전1431441451461471481491501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