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715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론 · 자율주행차 연구지원 계획 나왔다… 올해 119억 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무인이동체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분야”라며 “앞으로 2017년 12월
발표
한 무인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에 따라 실질적인 기술개발과 원천기술 확보를 지원해나겠다”고 밝혔다. ... ...
인플루엔자 항체 있는 사람, 독감 걸려도 전염성 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역시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고 미국 미생물분야 학술지 엠바이오(mBio) 23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진은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 항체가 인플루엔자 전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8세에서 50세 사이의 성인남녀 65명을 대상으로 임상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 전 참가자들의 ... ...
식품용기 속에 낀 ‘세균 때’ 플라스마로 없애 드립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이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 응용물질및표면 2017년 12월 20일자에
발표
됐다.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바이오필름 저감 실험 개략도 - KAIST ... ...
최후의 야생본능 ‘회색늑대’는 어떻게 진돗개가 됐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24
전 고대 러시아 타이미르반도 지역에서 생활했던 늑대 화석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
했다. 연구팀은 이 지역의 생활하던 늑대가 현대의 늑대와 개들의 조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스코그룬드 교수는 “현재 이 지역에 널리 있는 시베리아허스키종의 DNA와, 고대 러시아 지역 늑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인디고 제조 및 염색을 구현했다고 학술지 ‘네이처 화학생물학’ 1월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했다. 여러 식물이 인디고 색소를 만드는데 대표적인 예가 남아시아 원산인 인디고(Indigofera속)와 동아시아의 쪽(Polygonum속), 유럽의 대청(Isatis속)이다. 이 가운데 인디고와 쪽에서 양질의 인디고 색소를 ... ...
블랙홀 주위 생긴다는 ‘원반형 충격파’ 실존 증거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3
충격파가 주변으로 고르게 퍼진다는 사실을 발견해 22일(현지시각)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
했다. 블랙홀 주변에 발생하는 ‘원반형 충격파’의 증거를 최초로 발견한 셈이다. 지금까지 블랙홀 제트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충격파가 생긴다는 가설과 모든 방향을 뜻하는 ... ...
함부로 버린 약, 하천 미생물 내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전북대 생명공학부 채종찬 교수에 의뢰한 항생제 내성균 검출 조사 결과를
발표
했다. 채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축산 농가 밀집지역 및 하수처리 지점뿐 아니라 보통 강물에서도 항생제 내성균이 다량 존재했다. 전제 조사 지점 21곳에서 채취한 시료를 분석한 결과 항생제 내성균 분포율이 22.6~47%에 ... ...
혼술족에 경고 “하루 적정 음주량은 맥주 딱 한 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흔히 ‘적당한 음주’는 사람을 즐겁게 만들고 건강도 지켜준다고 한다. 예를 들어 하루에 와인 한 잔을 마시면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와인에 항산화제가 많다는 설명 ...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간장학 저널( Journal of Hepatology) 최신호에
발표
됐다 ... ...
손짓으로 기계 조종할 수 있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
됐다. 연구팀은 자석과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해 손짓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도록 했다. 센서를 손바닥에 부착한 뒤 자석 주변에서 움직이면 손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전구가 꺼지거나 밝게 켜진다.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옮기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성과는 1월 19일자 과학 저널 ‘사이언스지’에
발표
됐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DNA는 우리 몸 속에서 보통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중나선이란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해 꼬여 있는 모양을 말한다. 이렇게 두 가닥이 서로 결합할 수 있는 이유는 DNA ... ...
이전
1478
1479
1480
1481
1482
1483
1484
1485
14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