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형컴퓨터 첫선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휴대용컴퓨터를 개발, 7월부터 시판한다. 이 휴대용 컴퓨터(모델명 SDT-6500)는 담배갑 2개
정도
의 크기(7.8cm×14.2cm×2.9cm)에 무게도 2백50g에 불과한 초소형으로 휴대하기가 간편하면서도 3백4KB의 기억용량을 갖추고 있다. 또 16자×2행의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채용, 조작순서 입출력내용 오동작 등이 ... ...
PART3 초신성 폭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거리 개념으로 바로 지척) 별이 초신성이 된다고 해도 그 밝기는 보름달의 1천배
정도
가 된다고 한다. 초신성의 등장은 이처럼 거대한 현상인 만큼 우주의 신비를 풀 절호의 열쇠를 간직하고 있기도 하다. 아직 '1987A'가 전해준 우주의 메시지가 충분히 해명되지는 않았지만, 머지않아 우주는 그 깊은 ... ...
중년(中年)은 안정과 파멸의 기로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있다. 두뇌의 기능에서 보면 코에룰러스(coeruleus)라는 아주 작으나(세포수는 2만개
정도
밖에 안된다) 불안·공포등의 심리에 긴요한 역할을 하는 부위가 중년에 그 기능이 크게 쇠퇴한다. 이 부위에 세포의 쓰레기가 쌓여 기능이 저하되며 세포자체도 자꾸 죽어버린다. 이렇게 됨으로써 불안 공포를 ... ...
가볍고 식물이 잘 자라는 흙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도시의 고층 건물위에 녹지를 만들려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옥상에 잔디를 심으려도 25cm이상 두께로 흙을 깔지 않으면 안된다. 흙의 비중은 1.6~1.8 ... 물을 줄 필요도 없다. 이밖에 수목이 대단히 잘 자라 불과 3개월동안에 보통 흙이면 1년반 걸리는
정도
나 자라 훌륭한 정원이 된다고 한다 ... ...
중앙기상대장 손 형 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길로 들어섰다"고 담담히 술회하는 손대장은 예보관과 기상연구소장직을 각각 10년
정도
역임한 것 외에 시카고대학에서 기상학을 전공한 우리나라의 대표적 기상인이다. 중앙기상대 뒷편의 백엽상에서 사진촬영을 요청하자 "백엽상이 기상업무의 심볼로 되던 때는 지났다"며 위성사진을 ... ...
PART2 건강에 좋고 맛있는 물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이르는 여러 과정에서 오탁된다. 서울의 배수관은 그동안 많이 교체되었지만 아직도 15%
정도
가 낡아서 녹물이 나오거나 구멍난 곳으로 오물과 이물질이 흘러들고 있다. 가정에 도달해서도 여러 문제가 있다. 20~30년된 철제탱크가 녹이 슨 경우도 있고 청소를 소홀히 한 경우도 있으며 방청제를 잘못 ... ...
남자와 여자는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혈관에만 작용하는 합성약으로 실험한 결과 불로 장수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7~8년
정도
는 혈관이 젊어진것이 확인되었다. 이것이 더욱 개발되면 여성호르몬은 앞으로 인류의 생존에 있어 획기적인 약이 될 가능성이 많다. 섹스―왜 인간만이 언제나 가능한가 수년전부터 생리학자들에 의해 ... ...
최악의 공해에 최소의 대책도 없어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정도
와 노동자들의 건강상태를 조사할 계획이라고 한다. 현재 국내에는 연간 3천t
정도
를 생산하는 석면광산이 충남 광천에 한 군데 있으며 이들 석면과 외국에서 수입한 석면을 석면사로 방적하거나 방화복, 단열재 등 석면 관련 제품을 만드는 업체가 20여개에 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컴퓨터 수입개방의 파장 선진화를 위한 도약대가 될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기술축적으로 이어질 것인가는 미지수이다. 이처럼 우리의 컴퓨터산업은 16비트 PC
정도
는 자체적으로 생산해낼 능력이 있다는 낙관론이 지배적이지만 반드시 그렇지많은 않다. '취약하기 때문에 개방하라는 것이지 강하기 때문에 개방하라는 것은 아니다' 라는 당연한 이치를 거꾸로 생각해보면 ... ...
별의 탄생과 죽음 PART1 아기별은 어떻게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중력으로 수축되어야 한다. 이처럼 별탄생의 방아쇠를 당기는 계기로는 네 가지
정도
를 들 수 있다. 우선 두 개의 성간가스가 충돌하는 경우이다. 이때 충돌의 접촉면은 압축되어 밀도가 높아진다. 어느 한계를 넘는 질량(임계질량)에 도달하면 성간운은 스스로 수축하여 별이 탄생한다. 강한 ... ...
이전
1485
1486
1487
1488
1489
1490
1491
1492
1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