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세계 지뢰찾기 히어로즈, 모두 모여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역시나 다른 게임 세계에서도 우리와 상황은 똑같군!■왜 수학 난제겠어. 그래도 다행인 건 이제부터 지뢰찾기를 운에 맡기지 않고 수학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았잖아.◆맞아. 이제부터 수학 연구팀을 늘려 P 대 NP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거라고. 다른 지뢰찾기 세계의 친구들도 ... ...
- [퍼즐라이프] 정이십면체를 만들어라! 키슬 퍼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4개의 조각을 어떻게 결합해야 할까? ㄱ자 조각들로 정이십면체를 만들 수 있다는 건 정이십면체의 어떤 세 꼭짓점을 두 개씩 이어 2개의 변을 그렸을 때 두 변이 이루는 각이 정확히 90°라는 뜻입니다. 정이십면체는 정삼각형으로만 만들어졌는데, 어디에서 직각을 찾을 수 있을까요? 비밀은 서로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쉿! 시대를 넘어 레온하르트 오일러, 피에르 드 페르마, 르네 데카르트 세 수학자가 은밀하게 모였습니다. 수학자가 아니라 낄 수 없었던 저, 홍아름 기자가 몰래 엿보고 왔는 ... 문제를 푸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잠깐 소설 속 박사가 되어 주변에서 친화수를 한번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무역을 통해 외국에서 들어오는 물건이 어디에서 생산됐는지, 어떤 경로를 통해 들어온 건지 확인할 수 있답니다. Q 어과동 독자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고고학을 공부하다가 우연히 법의생태학자가 된 건, 제 흥미를 쫓아온 결과라고 생각해요. 어과동 친구들도 자신이 재미있어 하는 분야를 ... ...
- [가상인터뷰] 민첩한 동작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4족 보행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발표했지.인공지능 강화학습을 적용한 4족 보행 로봇이 나처럼 민첩하게 행동하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야. 동물의 행동을 따라 하기 위한 명령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거든. 그래서 연구팀은 개의 행동을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내게 적용했어.스스로 학습했다고? 어떻게 한 거야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잖아요! 수십 종류나 되는 아이언맨 슈트 중 기억에 가장 남는 건, 폭주하는 헐크를 막기 위해 사용했던 ‘헐크버스터’였어요. 3.5m에 달하는 거대한 몸집에서 뿜어져 나오는 어마어마한 괴력이란, 크으으~! 그런데 영화에 등장하는 헐크버스터가 로봇 공학자 크리에이터에 ... ...
- [인터뷰] “매일 머릿속으로 방정식 풀어요!”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새로운 기술을 도입할 때도 훨씬 수월하다”고 말했습니다. 미래 인재에게 필요한 건 ‘수학과 사람에 대한 관심’대구에서 태어난 송 대표님은 중학교 시절 버스를 타거나 길을 걸을 때도 머릿속으로 수학 문제를 풀정도로 수학을 좋아했습니다. 특히 ‘철수’나 ‘영희’가 등장해서 구구절절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이런 예측엔 ‘수학’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론 수학자가 미래를 예지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그랬다면 전 이미 세계 최고의 부자가 됐겠죠? 예측은 단순히 동전을 던지거나 주사위를 굴리는 찍기를 벗어나, 각종 수식으로 무장한 모형을 통해 계산합니다. 그리고 이 모형들에는 각 팀의 역대 ... ...
- 하늘로 떠난 수학 사냥꾼, 존 코웨이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자연스럽게 관련된 수학에 흥미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였지요. 그리고 연구실보다는 주로 건물 중간의 소파에 앉아 칠판이나 종이, 펜을 써서 학생들과 수학 이야기를 나눴습니다.그는 비록 코로나19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지만, 많은 사람과 수학의 재미를 나누고 싶었던 그 마음은 영원히 남아있을 ... ...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성 타이로스(TIROS) 1호를 발사해 북극해 해빙을 처음으로 촬영했다. 그러나 영상에 담긴 건 대부분 자욱한 구름이었다. 북극은 1년 중 수개월 동안 해가 뜨지 않고 구름이 끼는 날이 많은데, 당시 위성에는 광학 카메라만 탑재돼 있어 가시광선만 감지했기 때문이다. 오늘날에는 가시광선 이외의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