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량
브리지
육교
leg
브릿지
넓적다리
대퇴
d라이브러리
"
다리
"(으)로 총 2,706건 검색되었습니다.
파이프오르간에서 피아노까지 건반악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나뉜다. 입술형 파이프는 소리를 내는 원리가 플루트, 트럼펫과 비슷하다. 파이프
다리
를 통해 바람이 들어가는데, 아랫입술과 가름대 틈을 통해 나오는 바람이 윗입술의 모서리에 부딪칠 때 미세한 파열음이 생긴다. 파이프 안쪽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셈이다.입술형 파이프는 다시 몸통이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음파를 보내 탐사장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계산하는 장치죠.”김현섭 박사는 원형 의자의
다리
끝에 수신기가 각각 하나씩 달려 있다고 말했다. 즉 금속 봉을 세워 수신기를 배 근처 물에 잠기게 한 뒤 심해 탐사장비에 장착된 발신기에서 보낸 음파가 4개의 수신기에 도달하는 시간 차이를 해석해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첫 삽을 뜬 인천대교는 2009년 10월 완공돼 총 4년 4개월이 걸렸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다리
길이가 18.4km라는 점을 감안하면 교량구간이 7.3km인 서해대교가 완공되는 데 7년 걸린 것과 비교했을 때 공정속도가 4배가량 빨라졌다. 이처럼 인천대교를 빠르게 건설할 수 있었던 비결은 뭘까. 구간별, ... ...
다기망양과 미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롤리트에 2.8km2 이상 되는 넓은 땅에 길이가 3.2km나 되는 미로를 만들었다. 도중에 터널과
다리
까지 있는 이 미로는 현재까지 세계에서 가장 큰 미로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도 제주도에 김녕미로공원이 있어서 미로에서 길을 찾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자동차는 빠져나올 수 있을까미로와 관련이 ... ...
민물고기 별별랭킹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있는데다, 근육이 잘 발달한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있기 때문이죠. 이것을
다리
처럼 이용해 갯벌을 기고 말뚝이나 바위를 기어오른답니다.강준치수면 가까이에 사는 강준치는 입이 하늘을 향하고 있어요. 수면으로 떨어지는 육상 곤충을 잘 먹기 위해서죠. 독특한 사연이 있는 민물고기는 ... ...
3. 서프라이즈! 수학으로 본 세상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지구의 놀라운 공통점키가 크는 게 최고의 소원인 수동이는 농구에 푹 빠졌다. 팔
다리
를 쭉쭉 뻗는 농구가 성장판에 자극을 줘 키가 크는 데 도움을 준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 중학교를 졸업하기 전에 키가 농구공 둘레 길이보다 1m 더 크고 말거라는 목표도 분명히 했다. 농구공 둘레 길이가 ... ...
영화 ‘내 사랑 내 곁에’ 루게릭병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인해 몸에서는 점점 더 근육이 사라져 바짝 마르게 된다.보통 이런 증상은 한쪽 팔이나
다리
에서 먼저 시작되며 개인차가 있으나 평균 2~5년에 걸쳐 온몸으로 번진다. 환자에 따라서는 음식을 삼키거나 말을 하는 데 쓰이는 입 주변의 근육에서 먼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결국 횡격막과 늑간근,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한붓그리기는 단순화시켜서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예다. 쾨니히스베르크라는 도시의
다리
7개를 딱 한 번씩만 건널 수 있느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일러는 도시의 지도를 점과 선으로 된 도형으로 만들었고, 그 결과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붓그리기 문제는 지금도 여러가지 형태로 ... ...
언어 유전자는 존재하나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비교해 변이가 있는 유전자를 찾는 일이었다.1998년 이 유전자가 7번 염색체의 짧은
다리
쪽에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2001년 마침내 유전자의 실체가 밝혀졌다. ‘FOXP2’로 이름 지어진 이 유전자는 아미노산 715개로 이뤄진 전사인자를 암호화하고 있었다. 전사인자란 다른 유전자의 앞부분에 ... ...
“눈동자만 움직여도 현란한 영상과 소리 펼쳐져요”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활동에 따라 생기는 전기 신호인데,눈을 깜빡거릴 때도 뇌파가 변한다고 한다.배우는 팔
다리
를 움직이거나 허리를 굽히고 세우며 맡은 캐릭터를 연기한다. 이때 몸에 붙인 전극들이 모든 움직임을 인식한다. 물론 눈을 치켜뜨거나 가늘게 뜨거나, 또는 안구를 굴리는 동작도 전극으로 감지된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