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계"(으)로 총 4,809건 검색되었습니다.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촬영해서 3단계에 걸쳐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처리한다.뇌과학연구소는 처리 과정에서 2단계를더 추가해 훨씬 세밀하게 볼 수 있게 했다.이전까지 신경섬유를 5만 개 정도 볼 수 있었는데, 뇌과학연구소는 무려 600만 개를확인했다. 이렇게 자세히 보면 이전에 몰랐던 신경다발을 찾을 수 있다.뇌 사진 ... ...
-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로봇 제작도 한국기업 로보티즈에 맡기고 있다. 현재 경협에 나갈 로봇 토르도 거의 완성단계다.토르는 본래 미국 해군 연구과제로 개발하던 ‘사파이어(SAFFiR)’라는 인간형 로봇을 DRC용으로 재차 개발하고 있다. 전기모터로 움직이는 휴보와 달리 주사기처럼 피스톤이 앞뒤로 움직이는 전동식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GM 밀은 어떤 이유로 오리건주에서 자라고 있었을까. 보통 GMO를 개발할 때 시험재배 단계를 거친다. GMO 대표기업인 몬산토는 2001년 농무부로부터 오리건주에서 GM 밀(품명 MON71800)에 대한 시험재배 허가를 받아 한동안 노지에서 시험재배했다. 이 시험재배가 최근 GM 밀이 자라고 있는 원인으로 ... ...
- [수학실험실] 알랑가 몰라? 뢸로 삼각형 vs 구면 삼각형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만든 구면 삼각형의 중심을 모두 이으면 구면 사각형을 얻을 수 있다. 실험 ❷의 두번째 단계에서 구면 삼각형의 중심을 이어 직접 만들어 보자.구면에서 정사각형은 ‘모든 변의 길이가 같고, 변들이 만나서 이루는 각의 크기가 같은 사각형’을 뜻한다. 이때 한 내각의 크기는 직각보다 크다.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화산의 영향을 받아 정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직 조사단계에 있지만 백두산 천지처럼 큰 규모의 호수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위험이다. 첨단 사회는 2차 재앙을 낳는다1000년 전 백두산 분화는 대규모 폭발이었지만 지질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화산재의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분야의 발전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두 연구가 아직 시작하는 단계이니만큼 앞으로 어떤 기술이 우위를 점할지 예측하기는 어렵다.피부세포를 조금 떼어내 건강한 다른 세포로 만든 뒤 낡은 세포를 대체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면 마다할 사람이 있을까. 그러나 아직 임상에 적용하고 ... ...
- 우리는 창의력 대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냈다”며 “모터와 쇠구슬, 추, 지렛대 등을 이용하는 아이디어를 계속 덧붙이다 보니 15단계까지 만들게 됐다”고 말했다. 동아리를 이끌고 있는 이승준 학생(3학년)은 “한 번에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우는 없다”며 “끊임없이 토론하고 하루 17시간 가까이 작업했기 때문에 이 장치를 만들 ...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있어요.그렇다면 인포그래픽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질까요? 인포그래픽은 총 10단계에 거쳐 완성돼요. 주제 선정, 사전 조사, 자료 수집, 자료 분석 및 가공, 스토리 도출, 아이디어 스케치, 편집, 디자인, 테스트, 완성의 순서를 거치죠.주제 선정은 말 그대로 인포그래픽으로 만들 정보의 ... ...
- 생물계의 팔방미인 출동이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네 단계의 유충기를 거치는데, 먹이가 부족하거나 주변 온도가 너무 높으면 두 번째 단계 때 ‘다우어 유충’이라는 특별한 상태로 돌입해요. 이 상태가 되면 네 달 정도 아무것도 먹지 않고 버틸 수 있지요. 연세대학교 백융기 교수팀은 다우어 유충이 내뿜는 페로몬 ‘다우몬’이 노화를 조절할 수 ... ...
- 살인진드기, RNA 바이러스가 원인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일생 동안 3번의 흡혈을 한다. 유충, 양충, 성충이 되는 단계마다 흡혈을 해야 다음 단계로 성장할 수 있다.주로 땅바닥에 사는 참진드기는 흡혈을 하기 위해 스스로 동물을 찾아서 올라가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풀 위에 올라가 기다리는 경우가 훨씬 많다. 지나가는 동물의 피부에 붙기 위해 풀 위로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