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뭉친 열정 아이돌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무엇인지 찾아볼 수 있다. 홀랜드 검사에서 아이돌 스타와 관련된 직업은 예술형으로
상상
력이 풍부하고 개방적이며, 독창적인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다. 또 표현하는 것을 좋아하고 충동적이고 용기가 있는 사람들이다.물론 홀랜드 검사로 진로를 완전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진로는 오랜 ... ...
미션! 공룡의 흔적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어릴 때는 공룡 이름을 외우는 것이 그저 좋았어요. 하지만 앞으로는 화석을 보고 공룡을
상상
할 수 있는 멋진 사람이 되고 싶어요. ‘미션 성공! 미션 성공!’갑자기 어디선가 미션 성공이라는 소리가 들렸어. 역시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들은 대단해~! 앞으로도 새롭게 밝혀질 우리나라 ...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주를 신청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지금 화성에서 태어나는 아이들이 주역이 된 미래를
상상
해 보자. 그들은 딱히 지구를 그리워하지도 않은 채 화성을 영원한 고향으로 여기며 살 것이다. 지구밖에 몰랐던 우리와 몸과 사고방식이 다른 신인류가 될 것이다. 우리가 터를 닦았지만, 그들이 만들어 갈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어가는 뱀로봇 등 가지각색의 로봇이 생각난다. 혹시 문어처럼 흐느적거리는 로봇을
상상
한 독자가 있는지. 최근 문어 같은 연체동물은 물론이고 벼룩로봇, 식물을 닮은 로봇 등 새로운 형태의 로봇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모양은 물론 움직임도 실제 생물과 똑같다는데. 로봇공학자들은 왜 이런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드넓은 억새밭이 장관인 하늘공원은 과거 이곳이 쓰레기매립장이었다는 게
상상
이 가지 않았다. 그런데 억새밭을 벗어나 한강이 바라다 보이는 남향의 비탈에 이르자 풍경이 180도 바뀌었다. 땅은 물론 나무까지 온통 수채통에 걸린 국수면발처럼 말라비틀어진 식물로 덮여있었다. ‘식물계의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하나 알려져 있는 게 없어 책에 구체적으로 기술돼 있지 않다. 저자는 “독자가 마음껏
상상
의 나래를 펼쳐 나름대로 영상을 만들어가길 바란다”고 전했다.6년간 한국천문연구원 원장을 지낸 그는 기원전 3800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소설의 주인공으로 삼았다. 그는 당시의 천문대장을 지칭하는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이제는 이런 이야기를 그저 영화라고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뇌공학자들은 이미 영화의
상상
력을 현실로 만들기 시작했다. 이들은 가상현실을 만들기 위해 우선 사람의 생각을 뇌에서부터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리고 이 생각을 기록하고, 다시 꺼낼 수 있는 이른바 ‘드림레코더’를 만들고 ...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당시만 해도 박테리아 같은 하등생물에 동물이나 식물의 유전자를 넣는다는 건
상상
할 수 없었다. 그러나 1953년 왓슨과 크릭의 DNA 이중나선 발견 이후 모든 생물의 유전자는 DNA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예외로 일부 바이러스는 RNA로 이뤄져 있다)이 분명해지면서 동물의 유전자가 대장균에서 발현될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활강할 수 있어. 지상 몇 km 높이에서 하늘을 날며 화성의 지평선을 바라보는 모습을
상상
할 수 있겠어? 지구의 어떤 새도 못 누려본 경험일 거야.이곳의 활공 비행은 화성 최고의 인기 레저 스포츠야. 언제 화성에 올 기회가 있다면 꼭 한 번 해 보도록 해. 규정만 지키면 안전해. 아무래도 장소가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한 것에 비해 그 빠르기가 짐작이 간다.당시 현생인류가 지구 곳곳으로 퍼지는 모습을
상상
해 보자. 아프리카를 나온 인류가 유라시아 대륙으로 진출하는 길은 무한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대단히 제한된 길만 사용했다. 동쪽으로 향한 인류는 해안을 따라 인도를 거쳐 동남아시아로 갔다. 그 뒤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