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호주로 이주할 수 있었습니다. 1948년 호주 애들레이드대가 세케레시에게 수학과 강사 자리를 제안했던 겁니다. 세케레시가 대학에서 수학 수업을 들은 건 미적분학이 다였지만, 수학에 대한 관심이 많아 여러 편의 논문을 썼거든요. 에르되시와 함께 쓴 논문도 여기에 해당하지요. 1970년대에는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재판정에 서게 된다. 고도의 문명을 이룩한 외계인이 지구를 어떻게 처리할지 결정하는 자리다. 여기서 어떻게 증언하느냐에 따라 지구와 인류 전체의 운명이 달라진다. 십대 두 명이 그런 중요한 책임을 맡는다는 건 부당하다고 주장해 보지만 외계인 재판관은 단호하다. 까딱하다가는 지구가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끌어당기지 못하지요. 그래서 공중으로 점프했던 캐릭터가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자리에 블록이나 바위가 있다면, 떨어지는 경로가 변하지 않고 그대로 충돌하지요. 게임을 만들 때 중력을 고려하는 대신, 땅이 캐릭터를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끌어당기도록 설정했기 때문이랍니다 ...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07호
- 갇힌 신세로 살 거예요!”“위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다람쥐 쳇바퀴와 달리 한 자리에 고정돼 있지 않고 굴러가고 있네요. 앗, 그런데 바퀴가 이동할 때 빨간 블럭이 어떤 곡선을 그리고 있어요!”자인 블레즈 파스칼입니다. 그런 사람이 왜 이런 꼴로 있는지 궁금해할 테니 지금부터 제 얘기를 ... ...
- [2016 사이언스바캉스]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작년 여름, 모집공고 7분 만에 마감한 그 강연 축제!‘2016 사이언스바캉스’는 올해의 화두 인공지능과 중력파, 화성 탐사 등을 주제로 한 9개의 강연과 이공계 진로 상담, 그리고 문화행사를 한 자리에서 경험할 수 있는 고품격 과학행사입니다.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변이를 통해 전달됐을 것으로 추정된다.복잡한 논의를 거쳤지만 우리의 질문은 여전히 제자리다. 왜, 무엇이, 어떤 특징이 진핵생물을 고등생명체로 진화시켰고 다른 생명의 왕국은 그렇지 못했는가. 해답은 어쩌면 꼬불꼬불한 미토콘드리아의 한 구석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Knowledge] A320 제조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공장인지 모를 정도였다.에어버스는 매년 자사 관계자와 엔지니어, 항공 전문 기자를 한 자리에 초청해 최신 항공 기술을 선보이고 토론하는 ‘혁신의 날(Innovation Day)’을 개최한다. 올해는 5월 30~31일 이틀간 개최됐다.에어버스 독일 함부르크 공장은 에어버스에서 만들어지는 항공기 중 A320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때 빈 바둑판에 흑이 첫번째로 놓일 수 있는 자리는 19×19=361개예요. 다음 차례인 백의 자리는 하나가 줄어든 360개가 되겠죠? 이 둘의 조합이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61×360=12만 9960개예요. 다시 흑이 놓이는 경우의 수까지 계산하면 4665만 564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가 나와요.결국 바둑판에서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인식도 척척, 농담도 척척알파고의 대국을 처음 본 사람들은 놀랐을 거예요. 알파고의 자리에 사람이 앉아 있었으니까요. 이 사람은 구글 딥마인드의 리드 프로그래머인 아자 황 박사예요. 알파고의 눈과 손을 대신해, 알파고에게 상대편 돌의 위치를 입력하는 한편 알파고가 출력한 대로 바둑판에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산다는 뜻이다. 하지만 그저 공간을 함께 점유한다고 해서 공존이 이뤄지지는 않는다. 한 자리에 나란히 놓여 있는 바위 두 개를 가리켜 공존한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적어도 둘 중 하나는 생명체여야, 보다 현실적으로는 둘 다 생명체여야, 공존의 참의의가 생긴다.공존이 능동적인 행위기 때문이다.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