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관례
관습
인습
전승
고전
세습
전통의례
d라이브러리
"
전통
"(으)로 총 1,798건 검색되었습니다.
화학- 이온과 전기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후자는 금속 원소인 셈이다. 물질을 화학적 성질에 따라 금속과 비금속원소로 나누는
전통
은 이때부터 생겨난 것이다.실험적인 수단을 통하여 더 이상 분해할 수 없는 물질을 원소로 생각한 라브와지에는 자신이 발견했거나 그 당시 여러 과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33종의 원소들을 발표하였다. 그의 ... ...
우주 탄생의 비밀, 중력파 탐지로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주장한다. 그들에 따르면, 프로젝트의 부수적인 성과는 빛이나 전파의 방사를 이용한
전통
적인 망원경으로는 도저히 관측할 수 없는 우주의 미지의 대상을 연구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도구를 얻는 것이라고 한다.반대자들은 그 계획의 과학적 매력을 인정하면서도, 큰 규모의 지출을 ... ...
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잇따라 선보이면서 햄도 덩달아 활성화되고 있다.가장 큰 변화는 모스부호를 이용한
전통
적인 통신방식에서 무선전화를 이용한 음성통신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 아직까지 모스부호에 익숙한 베테랑들이 외국과 교신할 때는 전신이 많이 쓰이지만 초보자들은 대개 사용하기 쉬운 무선전화를 ... ...
고등 동물일수록 뇌의 휴식이 필요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비슷하다. 렘수면과 꿈이 관계가 있다고 주목하는 학자들도 많다. 어찌보면 렘수면은
전통
적으로(고등동물로 진화하기 전) 생물이 가지고 있던 휴식/활동 리듬의 휴식 부분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를 '생물시계'라고 표현하기도 한다.비렘수면은 숙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렘수면을 취할 때는 ... ...
한반도 숲 식물들의 세력다툼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는 연료와 식료를 제공하는 에너지 공급원으로 아주 귀중하게 관리 돼 왔다. 우리나라의
전통
부락 경관은 바로 이 숲정이에 의한 특색을 가지며, 독특한 '숲정이 문화'를 창조해 온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와 식물의 인연을 알아보는 데는 숲정이가 가장 걸맞는 재료라 할 수 있다.정겨운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고적과 사원 교회 등도 많다. 민속예술속에도 그
전통
이 풍요롭게 남아 있으며 지방마다
전통
음악과 무용이 있다.국민들은 1년에 4대 행사(Hatara Mangalle)로 불리는 축제를 성대하게 치른다. 그만큼 축제를 한없이 즐기는 민족이다. 네 번의 큰 축제중에 캔디에서 열리는 페라헤라(perahera)는 스리랑카를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서운관, 조선시대의 관상감으로 맥을 이어 내려온 우리 민족의 찬란한 천문학적
전통
을 일깨워 주고 있다.천문대의 전신이었던 국립천문대는 74년 9월에 설립됐는데, 60cm 광학 망원경을 소백산에 설치하기로 결정한 것은 그보다 2년전인 72년 5월 한국천문학회에서다. 소백산천문대는 78년 9월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상당수 있었지만 영장류가 사인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이 불가능하다는 그때까지의
전통
적 사고에 물음표를 던지기에는 충분한 것이었다.비슷한 시기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 있던 스트루세이커(Thomas Strusaker)는 1967년 동아프리카의 벨벳 원숭이가 표범 독수리 뱀 등 3종류의 포식자에 대해 다른 ... ...
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게임 오름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즈 역시 시뮬레이션 제작사라는 기존의
전통
에서 벗어나 다크랜드(Dark Lands), 아마존의 비밀(Rex Nebular and the Cosmic Gender Bender) 등의 롤플레잉이나 어드벤처를 만들고 있는 실정이다.미국 최대의 게임 소프트웨어 회사인 일렉트로닉스 아츠는 최근 일본의 ... ...
원격조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동시에 고속처리할 수 있으나 로봇은 아직 그런 계산처리에는 매우 뒤떨어져 있다.최근
전통
적인 논리가 아닌 인간의 추론을 모방한 퍼지, 신경망이론 그리고 혼돈이론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이를 로봇 신호해석에 적극 사용하고 있다. (그림 2)는 이러한 지능형 센서들이 집적된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