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심
한가운데
복판
센터
핵심
근원
서울
d라이브러리
"
중앙
"(으)로 총 2,33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름달 숨은 그림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토끼를 상상했다. 물론 달에 토끼가 산다고 생각한 것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다. 인도,
중앙
아메리카에서도 달을 보며 토끼를 상상했다.달표면을 자세히 보면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나타난다. 먼저 달의 어두운 부분을 주목해보자. 동쪽하늘에 떠오르는 보름달의 위쪽에는 어두운 타원형이 몇개 ... ...
무선통신의 창시자 마르코니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사건을 연출하면서 무선통신의 위력을 전세계에 ‘전파’시켜 나간다.1896년 영국 런던의
중앙
우체국에서 최초의 공개실험에 성공한 뒤, 1897년에는 도버해협에서 영국과 프랑스간의 통신까지 성공한다. 1901년에는 영국과 캐나다간 대서양을 건너는 그 유명한 대륙간 무선통신실험에 성공한다. ... ...
컴퓨터 혁명 몰고 올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폰노이만 방식의 컴퓨터는 순차적인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와 연산이 처리되기 때문에
중앙
처리장치(CPU)와 저장장치간에 병목현상이 생긴다. 이런 특성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는 한계가 따른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아주 빠른 양자의 활동을 이용하기 때문에데이터처리 속도를 무한대에 가깝게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멀리 있다고 착각했다. 지평선의 달은 거리착시 때문에 커보였던 것이다.필자 역시 국립
중앙
과학관의 천체투영관에서 이와 유사한 실험을 해보았다. 천체투영관에서는 별들뿐만 아니라 달도 돔 벽면에 비춰볼 수 있다. 그래서 중천에 뜬 달과 동쪽에서 방금 뜬 달의 겉보기크기를 비교해볼 수 ... ...
우주특실 즈베즈다 도킹성공의 내막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전력타워를 유지하면서 태양전지판을 양쪽 가장자리에 붙인 형상이다. 이 구조는 모듈을
중앙
에 배치하고 좌우로 태양전지판을 둠으로써 전력타워구조보다 좀더 안정적이다. 전력타워구조에서는 태양전지판의 움직임에 우주정거장 전체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반면, 듀얼킬구조에는 안정된 ... ...
1. 달러덩어리 가속기 왜 필요했나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들어오는 입자들은 각각 서로 다른 경로를 갖고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입자들은 링
중앙
의 궤도로부터 점점 더 벗어나 결국 빔 파이프와 충돌해 없어진다. 이 현상을 막기 위해 가속시키는 동안 빔을 집속시키는 장치로 자석을 이용한다. 이때 빔 파이프는 운동 중의 입자가 다른 기체 입자와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렌즈모양의 은하단면을 선명히 볼 수 있다. 이때 은하수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은하수
중앙
을 이리저리 가로지르는 거대한 암흑성운과, 아름다운 빛을 발하는 발광성운이다.은하수 속 숨은그림 찾기, 암흑성운은하는 우주를 떠도는 가스와 먼지로 가득 차있고 우리은하도 예외는 아니다. 어두운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있는 곳은 국립서울과학관과 서울시교육과학연구원 두 곳뿐이고 지방에는 대전의 국립
중앙
과학관과 지역마다 있는 16개의 시·도과학연구원이 있을 뿐이다.그런데 이미 만들어져 있는 과학 전시물이 아닌 문화재 속에서 과학을 찾으려는 시도가 이뤄져 주목받고 있다.1998년 APEC청소년 과학축전 ... ...
선마이크로 시스템즈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일반적으로 인터넷 시대를 좌우할 선의 기술로는 '자바'가 꼽힌다.자바는 운영체제(OS)나
중앙
처리장치(CPU)에 관계 없이 어떤 환경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선의 경쟁자인 MS도 채용해 사용하고 있을 정도.그러나 프로그램의 속도가 다른 언어에 비해 느려 일반 어플리케이션보다는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1.8m망원경에는 눈으로 직접 천체를 볼 수 있는 아이피스가 없기 때문이다. 망원경은
중앙
컴퓨터에서 좌표를 주면 자동으로 위치를 찾아간다. 망원경이 천체를 조준하면 CCD소자가 빛을 감지해 이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분석컴퓨터에 보내준다. 그러면 컴퓨터 화면에 17등성의 소행성이 나타나고, 1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