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상이문] 7화 '첨벙 첨벙' 여름이 떠오르는 '더 큰 첨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보고만 있어도 기분이 좋아지더라고! 은의 기분도 나아졌으면 하는 마음에서 내가 직접 ‘더 큰 첨벙’을 그려봤어. 우와~, 윤이는 그림도 잘 그리는고나? 나도 작년에 갔던 전시회가 기억나. 왜냐하면…, 거기서 나 혼자 반대로 이동하며 그림을 보다가 다른 애들이랑 엄청 부딪쳤거든. ... ...
- [수학체험실] 추상화의 선구자, 피터르 몬드리안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몬드리안이 한창 작품 활동을 하던 1933년 어느 봄날, 그는 동시대의 유명한 추상화 화가인 바실리 칸딘스키를 그의 아파트에서 만납니다. 수직, ... 가까운 직사각형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이번 수학체험실에서는 몬드리안 패턴을 직접 그려보며 그 속에 숨은 황금비를 탐구해봅시다 ... ...
- [퍼즐라이프] 꼭꼭 접어라, 전개도가 보일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번 호에는 종이를 잘라 정육면체를 만들 수 있는 ‘전개도 퍼즐’을 소개하겠습니다.정육면체를 만드는 건 쉬워도 그 방법을 찾는 건 어려우니 ... 높은 퍼즐입니다. 오른쪽에 제 마음에 들었던 도전과제를 하나 소개할 테니 집에서 직접 만들어 풀어보고 아래의 문제에도 도전해보세요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행을 일으키는 감염병에 유리한 백신은 아니다. 백신을 만드는 데 필요한 바이러스를 직접 배양해 사용하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은 간단하지만, 사람에게 실제로 적용하려면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 백신으로 사용한 바이러스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안전성부터 확보해야 하는데,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령 역전사효소는 동물에는 존재하지 않는 HIV 같은 레트로바이러스만의 특징으로, 이를 직접 공략한다면 부작용은 줄이고 바이러스만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등장한 항바이러스제가 네비라핀(Nevirapine)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에이즈 치료제는 다양한 전략을 취한다. 그중에는 ...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UAS)이 빛을 발하는 거예요. UAS에 라디오존데를 넣어 사전 실험을 한 뒤, 직접 성층권으로 올려보내 관측하면 보다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올해 초 UAS를 업그레이드한 뒤, 3월 중 UAS에서 테스트한 라디오존데 장비들을 성층권으로 올려보낼 예정이에요. 김용규 책임연구원은 “UAS를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스티븐 호킹은 2016년 지구와 가장 비슷하면서도 가까이에 있는 행성 ‘프록시마 b’에 직접 탐사선을 보내는 ‘브레이크스루 스타샷 프로젝트’를 계획했어요.프록시마 b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적생왜성인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를 도는 외계행성이에요. 태양에서 프록시마 b까지 가려면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참고하자.비는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 출연해 깡을 둘러싼 대중의 반응에 직접 대응했다. 가수로서 충분히 기분이 나쁠 수 있을 만한 댓글에도 비는 “너무 재미있다. 더 놀아주셨으면 좋겠다.”며 대인배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비의 넓은 아량만큼 깡의 인기도 한동안 더욱 커질 것 같다.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풀어봅시다. 오일러 프로젝트 문제는 코드를 잘만 짜면 1분 이내에 답을 얻을 수 있으니, 직접 한번 실행해보세요! 오일러 프로젝트 사상 처음으로 독자의 요청을 받아 문제를 풀어봤습니다. 수학과 영어가 절묘하게 만난 재밌는 문제였는데, 해답 코드가 너무 길어 모두 보여줄 수 없어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원래 성층권과 대류권 경계를 나는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성층권까지 올라온 거지? 직접 가서 물어보자! 24시간 비행의 벽을 깨라! 태양광 드론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기술연구부 이융교 책임연구원 팀은 지난해 8월, 17km 높이의 성층권에서 태양광 드론 ‘EAV-3’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어요. 2015년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