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환
병
병환
우환
병고
근심
걱정
d라이브러리
"
질병
"(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단백질 분해 과정은 세포의 노화와 죽음뿐만 아니라 암이나 면역체계 이상 같은 각종
질병
의 치료와 신약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최근에는 전세계적으로 프로테오믹스, 시스템생물학 같은 최신 연구기법을 도입해 단백질 분해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 ...
소 유전자 지도 완성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전자지도가 처음으로 완성됐다.미 농무부는 최근 소의 유전자지도가 완성돼 소의
질병
을 치료하고 쇠고기의 영양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소의 유전자지도는 베일러의대 인간게놈연구소 연구팀이 만들었으며 세계 과학자들이 볼 수 있도록 무료로 공개될 것이라고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혁신시킬 것이다.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분야다. “오늘날
질병
을 고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는 망치로 고장 난 시계를 수리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는 독일 ‘슈피겔’ 지의 묘사처럼 기존의 약물치료는 효과에 비해 부작용이 너무 크다. 분자차원, 즉 나노수준에서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는
질병
치료에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많은 젊은 과학자들이 이 분야에 도전해
질병
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게 노력하길 바란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0년 뒤는 나노바이오기술이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2. 단 한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능력을 갖췄다고 이해하면 쉽다.아라자임은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우선
질병
예방제나 성장촉진제로 가축에게 먹일 수 있다. 강력한 항균 항생효과 덕분이다. 단백질 분해 기능으로 각질분해효능이 뛰어나 화학약품을 대신해 얼굴이나 발, 몸의 각질을 손쉽게 벗겨낼 수도 있다.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과학의 힘으로 해결되고 있는 점을 생각해보면 그리 머지않은 장래에 RNA를 이용해
질병
을 치료하는 등 RNA 간섭을 통해 새로운 생명공학기술의 패러다임을 여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피를 빨아먹을 때 숙주에게 박테리아를 옮긴다. 이로 인해 사람은 수많은 다양한
질병
에 걸릴 수 있다. 제2의 에이즈로 불리는 라임병도 진드기가 옮기는 병 중 하나다. 에릭슨의 연구팀은 어떻게 이 전파가 일어나는지를 이해하고자 진드기에 있는 박테리아에 형광을 입혔다.연구팀은 박테리아에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증식하는 동안 여러가지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이에 착안해 과학자 들은 비피더스균에
질병
을 치료하는데 필요한 단백질 유전자를 삽입하는 연구를 해왔다. 이렇게 조작된 비피더스균을 섭취하면 장에서 삽입된 유전자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만들어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필자의 연구팀은 ... ...
몸은 어떻게 통증을 느낄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런 상태를 ‘통각과민’이라고 한다.신경이 손상됐거나 뇌와 척수 같은 중추신경계에
질병
이 생긴 경우에도 통각과민이 되는데, 바로 이것이 신경병증성 통증이다. 신경병증성 통증은 화상과 같은 말초적인 통각과민보다 훨씬 복잡하고 심한 양상을 보인다. 인간이 느끼는 통증 중 가장 심한 ... ...
허준, 동아시아 최초 성홍열 관찰 연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질환) 등 조선시대의 전염병에 대해 연구했으며 오늘날의 홍역에 해당하는 새로운
질병
을 발견해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허준의 연구는 현대 연구와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라는 것이다.허준의 ‘동의보감’ 은 중국에서 30여 차례, 일본에서 2차례 출간되며 동아시아 의학의 교류에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