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양
손해
손상
햇빛
불리
훼손
상해
d라이브러리
"
해
"(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크에 파쿠르 게임방을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길’ 또는 ‘여정’을 뜻하는 프랑스어 ‘파쿠르’는 건물과 벽 등의 지형과 사물을 활용
해
맨몸으로 이동하는 기술을 말
해
요. 마인크래프트에서는 파쿠르를 미니 게임으로 즐길 수 ... 코드를 중지하면 저장된 변숫값은 삭제되므로 다시 채팅명령어 ‘2’를 실행
해
주어야
해
요 ... ...
[이슈] 바람보다 빠르게, 나비처럼 아름답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하기 때문이에요. 원심력은 원의 바깥으로 나아가려는 힘이에요. 이 원심력을 잘 이용
해
서 접선 방향으로 직진하는 기술이 필요하지요. 몸을 트랙 안쪽으로 기울이면, 원의 중심을 향하는 힘인 구심력이 원심력을 적절히 줄여줘요 ... ...
[똑똑하마] 위로 더 위로~ 올라가는 원숭이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3호
배의 밑바닥과 물의 표면이 만나 생기는 마찰력을 이겨내기 위
해
노를 열심히 저어야
해
요. 마찰력을 이용한 ㅡ스포츠에는 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리 주변에서 마찰력을 이용한 물건도 찾아봐요 ... ...
[특집] 수학 X 게임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않고 그 위부터 블록당 1만큼 피
해
를 입습니다. 따라서 블록 개수를 x라고 했을 때 입는 피
해
는 1×(x - 3)입니다. 몬스터 중 하나인 좀비의 체력은 20이기 때문에 x - 3 < 20이라는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때문에 경험치 공장의 높이는 23보다 한 칸 작은 22칸으로 만들면 됩니다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3장. 수학 밑바닥 이야기
수학동아
l
2022년 03호
이라는 책에 담았습니다. 이로써 논리학이야말로 증명 없이 인정
해
야 하는 수학의 기반이라는 사실이 입증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러셀, 프레게의 자연수 이론을 무너뜨리다 2권 출판을 앞두고 프레게는 버트런드 러셀이라는 영국의 젊은 ... ...
[서펑] 유전자 편집 기술의 중심에 선 과학자 '제니퍼 다우드나'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가장 큰 동기가 실은 돈도, 명예도 아닌, 자연의 신비를 밝혀내고 그 발견을 통
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것임을 깨닫게 했다”고 적었다.이 책은 주인공 다우드나 교수 외에 그를 둘러싼 많은 과학자들의 일생을 다룬다. 다우드나 교수와 경쟁 관계에 있는 장 교수, 노벨상을 함께 수상한 ... ...
[과제] 이번 수업의 과제는 이야기 나누기 입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기술: 첨단기술이 언제나 정답은 아닙니다장애인 이동권 문제에 세간의 이목이 모인 건 지난
해
12월부터다. 그러나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하라는 투쟁은 올
해
로 ... 평면적인 이미지를 전복시키되 휠체어 자체가 지워지지 않도록 그 균형을 잘 맞추며 더 다양한 휠꾸를
해
보고 싶습니다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우리도 향기 좋은 차 한잔과 더불어 코를 통
해
들어온 향기가 바꿀 우리의 미래를 상상
해
보면 어떨까. ※필진소개문제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에서 신경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신경과학과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현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과학과 ... ...
[그래프뉴스] 제주도가 흔들~ 11번째 강력한 지진이 발생했어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제주도에서 우리나라 역사상 11번째로 강한 지진이 발생했어요. 지난
해
12월 14일 제주 서귀포시 앞바다에서 발생한 지진은 리히터 규모 4.9의 강도였어요. 리히터 규모는 지진 ... 일어날 수 있어요. 지진으로 인한 진동을 느끼면 책이나 방석으로 머리를 감싸고 책상 밑으로 숨어야
해
요 ... ...
[특집] 무한 거울의 방에 갇힌 앨리슨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분홍색 그림은 거울에 비친 물체예요. 이렇게 거울에 보이는 모습을 ‘허상’이라고
해
요. 파란색 그림은 허상이 반사돼 맞은편 거울에 비친 거예요. 이렇게 두 거울이 서로의 허상을 계속 반사하면서 물체의 모습이 무한히 반복돼요. 즉 앨리슨은 자신이 비친 모습들을 보고 있는 것이지요. 이처럼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