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출
배설
분비물
배설물
걸러내기
스며나옴
뉴스
"
분비
"(으)로 총 1,595건 검색되었습니다.
건망증 원인은 결국 스트레스였어
과학동아
l
2014.06.18
쥐 그룹의 경우 절반쯤 되는 58%만이 제 시간에 빠져 나왔다. 연구팀은 이들의 코티솔
분비
량은 미로에서 제 시간에 나오지 못한 쥐의 80% 정도로 낮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 미로에서 제 시간에 나오지 못한 쥐의 뇌를 해부한 결과, 단기기억력과 관련있는 부분인 전전두엽의 신경세포 연결 중 20%가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어려운 환경에 처했다고 해석하기 때문에 성장보다는 현상유지로 초점을 돌리므로 IGF-1
분비
가 줄어들고 따라서 노화를 늦출 수 있고 암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는 것. 지난해 출간된 ‘간헐적 단식법’에는 단식의 과학이 간략히 소개돼 있고 구체적인 단식의 방법론이 제시돼 있다. 과학의 ... ...
브라질 월드컵엔 '아침형 인간'이 유리
과학동아
l
2014.06.11
조지 브레이너드 교수는 LED 조명의 파장인 450~480nm의 푸른빛이 수면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
를 막는다고 2001년 '신경과학저널'에 발표했다. 브레이너드 교수팀이 이 파장의 빛을 실험에 참가한 사람에게 쪼이자 기상 시간이 3시간이나 당겨졌다. 브레이너드 교수는 “눈에서 빛을 ... ...
진딧물과 박테리아의 불편한 동거
과학동아
l
2014.06.04
유명하다. 하지만 식물도 일방적으로 당하는 것이 아니라 진딧물이 싫어하는 화학물질을
분비
하는 방법 등으로 방어를 시작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식물이 어떻게 진딧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방어기작을 작동시키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연구팀은 진딧물이 즙을 빨 때 식물 속에 침을 흘려 ... ...
이것 개발했더니 보톡스 대체물질까지?
과학동아
l
2014.06.02
교수팀은 세포내 시냅스 소낭이 신경세포막과 융합을 일으켜 신경전달물질을
분비
하는 과정인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손쉽게 대용량으로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인간의 감정이나 행동, 기억 등을 관장하는 두뇌활동은 신경세포간 상호작용에 의해 이뤄진다. 이 때문에 ... ...
채소만 먹었는데 콜레스테롤이 늘었다고?
과학동아
l
2014.05.26
한국과 미국에서 특허 출원을 완료했으며, 연구결과는 임상내
분비
학 분야 저널 ‘임상내
분비
학 및 대사학’지 5월호에 실렸다. 이 기술의 관건은 식물성 스테롤 대사이상 질환과 다른 고(高)콜레스테롤 관련 질환을 어떻게 정확히 구분할 수 있냐는 것. 식물성 스테롤 대사이상 질환자에게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전두엽 아래 존재)이 관리하게 된다. 이때도 중뇌가 활성화되는데, 중뇌에서는 도파민을
분비
해 행동에 쾌감이 따르는 결과를 준다. 결국 습관이란 어떤 일련의 행동이 하나의 묶음이 되면서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데, 이 과정에서 의식적인 뇌(전전두피질)가 거의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 ...
수학을 활용하면 시차 적응도 OK~!
수학동아
l
2014.05.19
분비
되어 수면을 유발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주이트-포저-크로나우어 모델에 멜라토닌이
분비
되는 시간과, 여행으로 인해 달라진 수면주기를 적용해 시차증을 극복할 수 있는 시간대를 찾아냈다. 어플리케이션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출발지와 도착지만 입력하면 두 지점의 시차를 계산한 ... ...
문어 빨판, 벼룩 뒷다리, 파리지옥 이빨의 공통점은?
과학동아
l
2014.05.16
분비
하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커런트바이올로지’ 15일자 논문에서 “화학물질이
분비
되는 양에 따라 빨판의 부착력이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수중로봇 개발에는 바다거북이 좋은 모델이다. 바다거북은 다리 4개를 각각 움직여 물속에서 자유자재로 방향을 바꾼다. 지난해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오리너구리의 게놈에서 발견됐다.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 비버와 생김새가 닮았고 젖을
분비
한다. 하지만 조류인 오리처럼 알을 낳고 발에는 물갈퀴도 달렸다. 오리너구리의 게놈에서는 이런 조류와 포유류의 형질이 모두 나타났다. 독일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의 뼈 화석에서 DNA를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