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뉴스
"
아시아
"(으)로 총 2,421건 검색되었습니다.
철도연 ‘북방철도연구센터’ 확대 개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공동화차 개발을 위해 중국·러시아와의 협력도 진행 중이다. 나희승 철도연 원장은 “동
아시아
철도네트워크 구축을 선도하기 위해 확대 개편한 철도연 북방철도연구센터가 남북철도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대륙철도 시대를 앞당길 수 있는 기술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화성産 첫 와인은 화이트 와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화성에서 와인 양조용 포도를 기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했다. 조지아는 유럽과
아시아
경계를 이루는 카프카즈 산맥에 자리한 나라로 1990년 옛 소련이 붕괴되면서 러시아로부터 독립한 신생국가 중 하나다. 조지아는 ‘물보다 와인에 빠져 죽는 사람들이 더 많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
에서 나온 새로운 인류의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3
떠나온 인류종일 수도 있다. 네이처는 표지에 ‘
아시아
밖으로’라는 제목을 달며
아시아
에서 나온 이 화석이 인류의 역사를 새롭게 쓸 수 있음을 시사했다 ... ...
인류 앞에 베일 벗은 블랙홀...“다음 목표는 동영상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한 명이다. 정 선임연구원은 “한국과 일본, 중국 등의 전파망원경 10기가 모인 ‘동
아시아
우주전파관측망(EAVN)’ 가운데 EHT가 관측하는 1.3mm 영역의 전파를 관측할 수 있는 망원경이 한국과 일본 등에 3대 있다”며 “국내에서는 서울대가 보유한 6m급 전파망원경이 참여를 준비 중”이라고 ... ...
UST 졸업생, 포브스 선정
아시아
영향력 있는 젊은 리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UST) 졸업생인 김영진 테솔로 대표가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가 선정한 '2019
아시아
의 영향력 있는 30세 이하 리더 30인 : 제조&에너지 산업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포브스는 해마다
아시아
, 태평약 지역 23개국에서 10개 부문에 걸쳐 총 300명의 영향력 있는 인물을 선정한다. 김영진 대표는 ... ...
“다음 목표는 블랙홀 ‘동영상’ 촬영" 한국 전파망원경 참여도 타진 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프랑스 등의 전파망원경이 앞으로 추가로 합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국 등 동
아시아
전파망원경이 참여하면 더욱 정밀한 관측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데이터·날씨와의 씨름 힘들어...“최대 성과는 상대성이론 증명” 칠레에 설치된 전파망원경 알마(ALMA). ‘이벤트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협력 구성원으로서 참여했다. 한국이 운영하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동
아시아
우주전파관측망(EAVN)도 연구에 기여했다. 이번 관측에 참여한 전파망원경 집합체인 ALMA는 칠레 북부의 아타 카마 사막의 고원 해발 5000 미터에 위치하고 있다 ... ...
필리핀에서 6만7000년 전 신종 인류 '호모 루조넨시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플로레스인이나 호모 루조넨시스 화석을 발견했다면 얘기가 달라졌을 것”이라며 “
아시아
에서의 호미닌 진화가 한층 복잡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 ...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연구원이 EHT 공동연구진에 이름을 올렸다. 한국이 운영하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동
아시아
우주전파관측망(EAVN)도 블랙홀을 직접 관측하지는 않았지만 EHT 연구에 활용됐다. 정태현 천문연 전파천문본부 연구원은 “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하고 관련 데이터를 처리 및 보정하는데 참여했다”며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협력 구성원으로서 참여했다. 또 한국이 운영하고 있는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과 동
아시아
우주전파관측망(EAVN)이 연구에 기여했다. 메시에 87 은하의 중심에 있는 블랙홀 시뮬레이션 이미지다. 이번 관측으로 이런 모델 가운데 어떤 것이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사진 제공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