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스페셜
"
약
"(으)로 총 4,56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학을 지식전쟁의 최전선으로] ⑤지역거점 국립대를 연구중심대학으로
2021.07.14
포함해 모든 대학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여기엔 매년
약
7000억원이 사용되는 데 상당부분이 지역대학 지원에 쓰인다. 안타까운 것은 국립대육성사업과 대학혁신지원사업 모두 대학의 '연구' 기능에 강조점을 두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더 큰 문제는 이들 사업과 ... ...
방역당국 "감염확산 진원 수도권 4단계 효과 일주일 뒤에야 나타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최근 일주일간 국내 하루평균 확진자 수는 1255.9명이다. 이 중 수도권이 955.7명으로
약
76%를 차지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4일 코로나19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감염 확산의 진원지이자 가장 큰 무게 중심은 수도권”이라며 “수도권의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는 것이 전체 ... ...
[랩큐멘터리]드론기술이 낳은 폐해, 발전된 기술로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시장조사업체 ‘팩트앤드팩터’에 따르면 전 세계 드론 배송시장은 지난해 5억2200만달러(
약
5901억원)으로 2065년 67억7300만달러(
약
7조6568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드론 간 충돌을 막기 위해 원활한 통신이 필수다. 현재까지는 100대 정도를 충돌없이 동시에 운용할 수 있다. 연구실은 드론 간 ... ...
코로나 신규 확진 1615명 역대 최다…서울·경기 역대 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4
서울·경기·인천을 합한 수도권에서만 확진자가 1179명이 발생했다. 이는 지역발생의
약
75%에 해당한다. 비수도권의 확진자 규모도 대폭 늘었다. 두 자릿수가 발생해도 10~30명대에 머물던 비수도권의 일부 지역에서는 100명에 육박하는 확진자가 나왔다. 비수도권에서는 경남이 87명으로 가장 많다. ... ...
희귀 신경질환 부작용 발목 잡힌 얀센 백신…미 보건당국 백신 불신 불똥 튈라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보고됐다”고 밝혔다. 미국에선 지금까지 전체 백신 접종 인구의 8%에 불과한
약
1280만명이 얀센 백신을 맞은 것으로 집계됐다. 길랭바레 증후군은 1976년 돼지 독감 백신과 기타 독감 백신을 비롯한 다른 백신에서도 발병하고 있다. FDA는 지난 3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대상포진 백신인 ... ...
방역당국 “4차 유행은 지인·동료간 접촉과 모임이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비중은 61.7%에서 41.9%로 감소했지만 지인 또는 동료를 통해 감염된 비중은 23.8%에서 40.0%로
약
두 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원 단장은 “4차 유행에서는 세대간 접촉 감염이 크게 줄고 동일 연령대간 접촉 감염이 전 연령대에서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
2021.07.13
롱기와 호모 사피엔스 공통조상은
약
100만 년 전 갈라졌고 호모 롱기와 호모 사피엔스는
약
95만 년 전에 갈라졌다. 간발의 차이다! 게놈 염기 서열 비교를 통해 추정한 네안데르탈인과 호모 사피엔스의 분기 시기인 70만~60만 년 전인 것에 비해 훨씬 더 거슬러 올라가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논문 ... ...
효능 논란 끊이지 않는 렘데시비르…노르웨이팀 “항바이러스 효과 확인 못 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등이 3상을 진행하며 속도를 내고 있다. FDA의 코로나19 치료제로 정식 승인을 얻은
약
물은 렘데시비르가 유일하며, 긴급사용승인을 얻은 품목은 리제네론의 항체칵테일요법인 REGEN-COV, 비어테크놀로지의 소트로비맙, 일라이 릴리의 밤라니비맙에 에테세비맙 병행 처방 등 3개다 ... ...
얀센 백신 새 부작용 확인…美 FDA “길랭바레 증후군 추가”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손상을 입을 수 있고, 50세 이상에서 위험이 크다고 설명한다. 미국에서는 지금까지
약
1300만 명이 얀센 백신을 맞았고, 이 가운데 100명에게서 길랭바레 증후군이 보고됐다. 이 중 95명이 입원했고, 1명은 사망했다. FDA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고 평균 2주 뒤에 증상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남성으로 50세 ... ...
"학생간 0.9m 떨어져 앉고 마스크 쓰고 환기 꼭" CDC가 제시한 전면등교 조건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따르면 어린이의 경우 미국 내 확진자의 14%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7월 기준으로는
약
7%에 그쳤지만 델타 변이 확산으로 두배 가량 증가한 것이다. 확진 규모는 늘어도 심각한 중증과 사망은 드물다. 소아청소년의 입원율은 2% 이하이며 사망률은 0.03%에 그친다. 그러나 일부 과학자들은 감염 당시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