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렇기 때문에 원하는 인재도 일반 대학과는 다르다. 신하용 KAIST 입학처장(산업및시스템공학과 교수)을 만나 KAIST가 지향하는 인재상을 들어봤다. 2018학년도 수시 경쟁률은 8:1신 입학처장을 만난 시기는 마침 2018학년도 수시 서류심사를 끝내고 1단계 합격자를 발표하기 며칠 전이었다. 2018학년도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수 있다. 활용 범위가 넓은 만큼 물리학, 화학공학, 신소재공학,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등 전공 선택의 폭도 크다. 3. 차세대배터리 연구자최근 전자제품의 핵심은 배터리다.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전자제품은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오래 작동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결정된다. 배터리 ... ...
- 알고는 있나? 슬링키의 수학스러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왜 이렇게 움직이는 걸까요? 실수로 발명한 슬링키1943년 미국의 선박 회사에서 기계공학전문가로 일하던 리처드 제임스는 거친 파도에도 끄떡없이 떠 있게 해줄 기계 장비를 개발하는 일을 하고 있었어요. 어느 날 실수로 높은 선반에서 용수철 하나를 떨어뜨렸는데, 이 용수철이 선반에서 탁자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뇌 세포 + 로봇 = 사이보그?!2008년, 영국 레딩대학교 연구진은 쥐의 뇌 세포 30만 개로 움직이는 로봇을 개발 했다고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결된 전극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여요. 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거친 인간들이 이토록 섬세한 도구를 가질 자격이 없다고 생각한다.” 군사 공학의 기초를 쌓다레오나르도는 평화주의자였지만(심지어 동물의 고통을 생각해 평생 채식만 했다), 그런 그도 현실과 동떨어져 살 수는 없었다. 당시 이탈리아는 내분이 일어나고 프랑스와도 전쟁 중이었다.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역할을 넘어서 집안을 꾸려나가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2017년 7월 30일 일본에서 열린 ‘2017 국제 로보컵 대회’ 소셜 홈로봇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연구진은 일본 소프트뱅크의 로봇 ‘페퍼’에 직접 개발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탑재했다. 이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중 한 명인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의 제자인 최장욱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였다. 합금반응 선택했더니 에너지밀도 50% up⇧최 교수는 박사과정에서부터 꾸준히 배터리를 연구해왔다. 그의 관심은 여느 배터리 연구자들처럼 배터리 효율을 올릴 수 있도록 에너지 밀도를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레이스를 완성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보고 있어요. 한양대학교 생체공학과 임창환 교수는 “인류가 처음 달 착륙을 목표로 잡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새 기술이 탄생했다”며, “마찬가지로 뉴럴 레이스 개발은 오래 걸리겠지만 그 과정에서 뇌와 관련된 수많은 기술이 ... ...
- [과학뉴스] 초소형 벌 로봇, 진짜 벌처럼 윙윙~!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보비(RoboBee) 프로젝트’는 2009년에 시작됐어요.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주도로 로봇 공학자뿐만 아니라 생물, 재료, 전기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지요. 지난 10월 로보비가 비행뿐만 아니라 수영도 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돼 화제가 됐어요. 초당 9~13회 정도로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취재를 통해 고정관념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앞으로 로봇 공학자의 꿈을 이어가는 데 큰 힘이 됐다”고 소감을 말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데니스 홍 교수님과의 만남을 통해 다양한 로봇들도 보고 원하는 꿈을 이루기 위한 방법과 힘을 얻었어요. 앞으로 교수님이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