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문제
화제
테마
제목
목표
과제물
d라이브러리
"
과제
"(으)로 총 1,90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인 IBM과 일곱난쟁이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더 거대한 것이었다. 이
과제
를 주도한 브룩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과제
는 다른
과제
를 완성하는 것과는 다른 특성이 있다고 한다. 즉 프로그램의 완성을 앞당기기 위해서 더 많은 프로그래머를 투입하면 할수록 전체공정은 도리어 늦어지게 된다는 다소 아이러니컬한 교훈이 얻어졌다.이로써 ... ...
톱 쿼크 좇는 슈퍼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로부터 1년내에 현대물리학의 기본 가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의
과제
는 이제 계산속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다." 페르미연구소의 책임자인 존 피플즈 박사의 말이다.각 부분 별도 프로세서 에서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기계를 만들기 위해 물리학자들은 그리 비싸지 않은 ... ...
타국 땅에서 그려 보는 조국의 밤하늘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과학정신을 되살려내고 우리의 미래를 밝혀줄 진정한 과학기술을 개척하기 위한 선결
과제
인 것이다.오늘도 수많은 우리의 과학도들이 칸막이 쳐진 공항의 출발대로 들어서는 것이 보인다. 그들의 민족과학정신이 그 칸막이 너머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그들이 경험하게 될 것은 미국교수의 단순한 ... ...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line)의 첫 졸업생중의 한사람이 새 기록을 세울 것이다.일반적으로 KAIST 석사과정은
과제
중심으로 운영되고, 서울대를 비롯한 일반대학의 석사과정은 기초에 더 주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KAIST는 기업과 정부가 요구하는 굵직한 연구 프로젝트를 상대적으로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있다. 이
과제
는 학교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심사숙고하여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
라고 생각된다.현재와 같은 상황에서 이공계대학을 졸업한 웬만한 사람이면 이미 선진국에서 개발된 제품을 복제하는 일은 자신의 암기실력을 잘 활용하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이론이나 ... ...
4. 기존 권위에 도전하는 비판정신 길러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과제
임을 앞으로 과학자가 되려는 젊은 세대들은 깊이 인식해야 한다.그러나 이러한
과제
는 좁은 의미의 과학 학습에만 몰두함으로써 저절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일들이 아니다. 이를 위해서는 젊은 시절의 아인슈타인이 보여준 바와 같이 확고한 권위를 지닌 기존의 모든 사회적 통념과 질서들에 ... ...
정보화시대의 기술인력 기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분위기에 부응해 '순풍에 돛 단듯이'개교까지는 마쳤지만 애로사항이나 해결해야 할
과제
가 없는 것은 아니다. 우선은 교과목 개설의 문제다.작년 말 미림전산여고의 교사진이 작성한 교과과정에는 '그래픽''포트란'(FORTRAN), 최근 프로그램 제작도구로 각광받는 'C언어'강의 등이 포함돼 있었다.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있게 되는데 동물이 이처럼 환경 자극을 탐지할 수 있게 되면 먹이를 찾고 위험을 피하는
과제
들을 수행하는데 훨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감각과 운동이 직접 연계되면 반사적인 운동은 가능하지만 상황에 따른 유연한 행동은 불가능하다. 예를 들면 동일한 자극에 대해서도 ... ...
무시무시한 괴물들의 잔치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지표가 있다. 다름아닌 행성중의 행성이라고 할 수 있는 목성이다.이제 목성을 찾는 것이
과제
다. 하늘의 수 많은 별들 중에서 목성을 찾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하는 독자들이 많겠지만 그것은 천만의 말씀이다. 91년 3월의 밤하늘에서 목성을 찾는 것은 서울의 남산 꼭대기에서 63빌딩이나 3. ... ...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인간의 마음을 과학적으로 해명하려는 Al, AI 연구성과를 다른 과학연구나 실천적
과제
에 응용하려는 AI를 샬은 '약한 AI'라고 불렀다. 약한 AI 개념에 대해서는 로자크조차 그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샬은 '강한 AI'개념의 잘못을 지적하고 '약한 AI'를 입증하기 위해 AI를 두가지로 구분했다.샬의 주장에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