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d라이브러리
"
국립
"(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노벨상 수상자는 개구쟁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아이디어를 직접 그린 그림을 전시하는 ‘스케치 오브 사이언스’가 11월 23일까지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열린다. 스웨덴 노벨박물관이 직접 기획했으며 독일의 과학전문 사진작가 볼커 스티거가 촬영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모두 52점의 작품이 선보인다. 전시회를 공동 주관하는 KISTEP 박영아 원장은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규슈대 등의 7개 제국대학을 운영하며 기초과학을 가르쳤다. 이들은 나중에 모두
국립
대가 됐는데, 이 가운데 5개 대학에서 일본인 노벨과학상 수상자의 대부분이 나왔다. 여기에 1917년부터 기초과학 연구소인 이화학연구소(리켄)를 설립해 기초연구를 강화했다. 이후로도 일본은 GDP 대비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따라가야 하지요. 이 때 후각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겁니다.연구팀은 케냐 암보셀리
국립
공원의 땅바닥에서 코끼리 소변 샘플을 모았습니다. 소변의 주인공은 가족 구성원이 아닐 수도 있고, 무리의 선두에 있거나 한참 뒤처져 있을 수도 있지요. 연구팀은 소변 샘플의 냄새를 코끼리들에게 맡도록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체계적인 분류와 법규가 마련돼 있지 않아 엄밀하게는 토종닭으로 부를 수 없다. 강보석
국립
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금과 연구관은 “현재 토착종과 재래종을 포함해 토종닭을 정식으로 인증할 법령과 절차가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경태 연구관은 “재래닭 중 흑계를 중심으로 유전자를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얇은 것을 덮어주면 몸이 떨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을 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영국
국립
보건임상연구원(NICE)도 2013년 발표한 지침에서 “두꺼운 이불이나 옷은 벗기고 얇은 옷을 입혀야 한다”고 권고했다.열이 나는 것은 질병에 대한 ‘정상적인’ 면역반응이다. 만성질환이나 선천성 장애가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다. 2002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Y 염색체가 사라질 거라고 주장한 호주
국립
대 제니퍼 그레이브즈 교수는 “이 속도라면 앞으로 1000만년 뒤 Y 염색체는 아예 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1000만 년은 우리는 결코 만날 수 없는 시간이지만 생물 진화로 보면 ‘눈 깜짝할 새’다. 유전자 2개면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과학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사진예술 활동을 꾸준히 해왔다. 영국 큐왕립식물원
국립
과학기술예술재단(NESTA)의 선임 연구원을 지냈고, 씨앗형태학자 울프강 스터피 박사를 비롯한 과학자들과 함께 식물을 연구하면서 의 사진 작업을 맡았다. 과학자 같은 예술가 롭 케슬러의 이야기를 ... ...
[특별인터뷰 2] “수학동아는 매달 저를 설레게 해요”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뗀 수학동아리는 현재 승승장구하고 있다. 학생들이 연구한 내용을
국립
중앙박물관과
국립
과천과학관에서 주최한 수학체험전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가르쳐 주기도 했다.“사실 많은 학생들이 수학의 ‘수’자만 들어도 치를 떨어요. 문제는 수학을 잘하는 친구들도 그렇다는 거예요. 수학을 입시의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자고 일어나라’였다. 독자 여러분은 알 것이다. 저게 얼마나 불가능한 말인지. 미국
국립
수면재단에서 권장하는 낮잠은 30분에서 1시간 이하다. 시간적으로 점심시간은 낮잠을 자기에 좋은 때이긴 하다. 총알같이 점심을 먹고(20분), 양치질을 하거나 잠시 소화를 시킨 다음(10분), 한숨 자는 것(30분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실제 재배된, 자포니카 종의 아종이나 변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장재기
국립
식량과학원 답작과 박사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수집한 재래종으로 우리 조상들이 키웠던 벼를 추측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우리나라는 1906년 권업모범장을 설립해 최초로 재래종을 수집하고 품종 개량에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