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파고캐고 지질학자]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 1월 말, 동굴 조사를 마치고 돌아오다 강원도 태백시 황지천의 ‘구문소’라는 곳에 들렀어요. 이곳에 펼쳐진 석회암 지대는 지난 30년 동안 매년 대학생 제자들과 함께 현장 조사를 하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구문소의 석회암이 특이한 이유는, 첩첩산중인 이곳에 얕고 따뜻한 바다에 살던 ... ...
- [수학뉴스] 대수기하학 연구자 박진형 교수 3월의 과학기술인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분야가 다양합니다. 박 교수는 로런스 아인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교수, 웬보 니우 아칸소대학교 교수 등과 함께 시컨다양체가 독특한 특이점을 가질 거라는 기존의 예상과 달리 보통 대수다양체 분류 문제를 연구할 때 자연스럽게 등장하는 특이점을 갖는다는 사실을 증명했습니다. 또 시컨다양체 ... ...
- [기획] 개미는 뚠뚠 오늘도 보물을 찾네~!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두둥! 평화로운 개미 나라에 사는 일개미 세 자매가 보물을 발견했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보물은 아니고 맛있는 사탕이 있는 곳을 알려주는 지도를 ... 연구할 수 있어요!” ★ 도움전중환(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최지범(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해낸 사람이 있습니다. 바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입니다. 펜로즈 교수는 1970년대에 ‘펜로즈 타일링’이라는 예시를 들어 단 두 가지 모양의 사각형만을 사용해서 어떤 패턴의 반복도 없이 2차원 평면을 무한하게 채워나갈 수 있는 ‘비주기적 ... ...
- [몬스터를 잡아라!] 비교의 달인, 비와 비율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크기를 비교할 때 등장하는 비와 비율 몬스터가 몬스터 숲에 숨어있어요.저기 비 몬스터가 자신과 똑같이 생긴 초콜릿 조각을 손에 들고 자랑하고 있네요. 비율 몬스터는 입을 크게 벌리며 뾰족한 이를 드러내고 있어요. 게임을 즐기면 숲에 있는 비와 비율 몬스터를 잡을 수 있어요. 몬스터를 게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잘못? 책임 공방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 인터뷰 “이루다를 희롱한 이용자도 심각한 문제입니다.”임소연(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Q 인공지능 챗봇 이루다 사건을 어떻게 보셨나요?인공지능은 그 사회를 닮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인간들이 차별과 혐오를 저지르는데 이를 학습한 인공지능에게 도덕성을 ... ...
- [가상인터뷰] 고양이가 캣닙을 사랑하는 이유는 모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얼굴과 몸을 문지르고, 잎에 취한 듯 행복한 표정을 짓는단다.지난 1월 20일 일본 이와테대학교 미야자키 미사오 교수팀은 고양이가 개다래나무를 좋아하는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개다래나무에서 추출한 물질을 여과지에 묻힌 뒤 고양이의 반응을 관찰했어. 그 결과, 고양이 18마리 중 15마리가 ... ...
- [기획] 페로몬만 믿고 따라와!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결과를 이끌어내기도 하는 것이죠. 더 나아가 오드리 듀스투어 프랑스 폴사바티에대학교 연구원은 먹이까지의 거리와 걸리는 시간이 같은 두 가지 이상의 경로가 있을 때, 개미들이 페로몬이 뿌려진 경로만 이용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결과를 2004년 3월 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 ...
- [하비맨] 물멍, 나도 해볼까? 마리모 보면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람들도 있습니다. 물밖에 오래 있으면 말라 죽기 때문이죠. 토가시 타츠야 일본 지바대학교 바다생물계연구소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마리모가 구 모양으로 뭉쳐있는 이유를 기하학적으로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4년 1월 20일자에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마리모가 구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네트워크로 신경망 구성하기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든 인공신경망에서는 인공 뉴런이 입력 신호를 처리합니다. 인공 뉴런으로 구성된 층은 입력층과 중간층, 그리고 출력층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각 층은 한 층으로만 이뤄진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층으로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