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9호
미국에서 열리는 로봇틱스 챌린지에서 꼭 좋은 성적 보여 드릴게요! 로제타10년만에
목표
궤도 진입에 성공여러분~, 반가워요! 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해 우주에서 날아온 로제타예요. 저는 2004년 3월 유럽우주국이 발사한 혜성탐사선이랍니다. 주기적으로 태양계를 도는 혜성의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궁금하고 알고 싶은 학생이라면 누구나. 2. 제목 :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 3. 수업
목표
① 쌍둥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다. ②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의 차이를 알고 설명할 수 있다. ③ 일란성 쌍둥이여도 서로 다른 것이 무엇이 있는지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6호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GTX(광역급행철도)가 2020년 개통(경기 일산~서울 삼성 구간)을
목표
로 공사 중이거든요. 지하철처럼 지하 터널을 통해 달려가는 GTX는 속도가 시속 180km에 달해요. 수도권 전역을 1시간 이내로 연결할 수 있는 속도지요. 지금 달리는 지하철의 최고 속도가 약 시속 100km, 평균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고민 중 하나는 중국의 부상이다. 중국은 핵융합 연구 인력을 2만 명 넘게 양성하겠다는
목표
를 세우고 매년 1000여 명의 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핵융합처럼 수십 년의 장기 투자가 필요한 분야에서 중국은 어느 나라보다 잠재력이 크다.“그래도 당당하게 눈에 보이는 연구성과를 내면 국민들도 ... ...
우리 주변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주변에서 일어나는 재미있는 일들을 서로 널리 공유하도록 하는 게 저희
목표
입니다. 기존의 소셜네트워크서 비스(SNS)로는 채울 수 없는 욕구지요.”11월 17일, 서울대 GIS 연구실(유기윤 지도교수)에서 만난 노건일 박사과정 학생이 말했다. 그는 최근 동료 대학원생들과 함께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한다. 이는 이터의
목표
치이기도 하다. 플라스마 유지 시간은 케이스타의 경우 300초를
목표
로 하고 있다. 현재 30초대다.1억K 이상의 플라스마를 만드는 것도 쉽지는 않다. 현재 케이스타 등 토카막 실험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에너지를 넣어준다. 토카막 안으로 전자기파를 걸어주면 마치 ... ...
[knowledge] “산호를 보니 숨통이 트여요”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환경을 좋아하고 해양에 대한 관심도 있거든요. 직접 와서 경험해보니 진짜 여기라면 제
목표
로 삼아도 좋을 것 같아요. 여자친구 사귀기 힘든 것만 빼면 힘든 것도 없고. 아주 걱정이 풀린 건 아니지만, 최 박사님을 멘토 삼아서 노력해 보려고요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같은 복잡한 요소까지 고려해야 새의 움직임을 제대로 모델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인
목표
는 3D 프린터를 활용해 새의 움직임을 똑같이 따라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것입니다. 3D프린터로 새를 출력해 배터리만 끼워 바로 날려 보낼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컴퓨터공학의 미래 꿈꾸던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어 준 교통로.꼭짓점이 8개인 별 모양에 주목하라!전 이번 말레이시아 여행에서 특별한
목표
가 있었어요. 바로 말레이시아 건축과 예술의 원형이 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는 일이었지요. 제가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건, 17개 벽지군★과 에셔의 테셀레이션에 대해 ... ...
[career] 기숙사에서 매일 열리는 ‘비정상회담’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실은 아프리카 학생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하고, 희망을 불어넣는다.이 처장의
목표
는 현재 4.4%인 KAIST 외국인 학생 비율을 10%까지 늘리는 것이다. 외국 학생이 늘어나면 대학경쟁력도 올라간다. KAIST는 ‘2014 QS 세계대학평가’에서 공학기술 17위, 종합 51위로 역대 최고순위를 기록했다. ‘타임즈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