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집
주점
나이트클럽
호프
선술집
식당
salon
d라이브러리
"
바
"(으)로 총 3,11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있는 매우 먼 천체나 빛의 분포를 살펴보면 이에 대한 답을 알 수 있다. (그림5)에서 보는
바
와 같이 전 하늘에 있는 우주배경복사의 분포를 살펴보면 우주의 빛 분포가 매우 균일하고 등방적으로 보인다. 또한 멀리 있는 전파은하나 20세기 천문학의 최대 수수께끼인 감마선 버스트(폭발)의 분포를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만약 원소들이 옥텟 규칙에 권태를 느끼고 행동 양식을 약간
바
꾼다면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 옥텟 규칙이 잠시 동안이라도 깨어진다면 지금의 모든 물질 세계는 극도의 혼란에 빠지고 말 것이다.일례로 산소가 이중결합을 이루는 대신 단일결합을 이룬다고 해보자. 그러면 ... ...
과학자들의 콤플렉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전혀 다른 부류의 사람들로 규정해버린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과학자들에 대한 올
바
른 이해 방법이라고 할 수가 없다. 오히려 과학자들이 가진 콤플렉스는 그들도 역시 인간이라는 점을 드러내주며, 그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거리감을 감소시켜준다. 과학자들 역시 늘 선택해야 하고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
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국내 최초 교수 사장 탄생.' '국내
바
이오벤처 최초로 외국 자본 유치에 성공.'서울대학교의 작은 실험실에서 둥지를 튼 생명공학 벤처사
바
이로메드가 창 ... 나왔을 때 한해서의 얘기다.그의 희망은 "일반인이 볼 때에도 눈에 잡히는 성과가 있는
바
이오벤처사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이다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의도를 담았다고 했지만, 클라크 본인은 순전히 우연의 일치일 뿐이라고 밝힌
바
있다.'2001 우주 오디세이'의 속편인 '2010'은 1982년에 발표됐고, 전편과는 달리 소설이 먼저 발표된 다음에 피터 하이엄스 감독에 의해 영화로 만들어졌다. 그 다음 편인 '2061'은 1988년에, '3001'은 1997년에 발표됐다.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출산시킨 축산기술연구소의 장원경박사는 “복제된 소가 일반적인 쌍둥이 소와 다를
바
가 없다”고 말하고 “유전형질을 변화시킨 경우가 아니므로 먹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다. 어미의 체세포 하나를 떼내 만들었을 뿐 외래 유전자를 넣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보통 소와 다르지 ... ...
꽃 색깔 연출하는 화청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포도당이 만들어지고, 여러 포도당은 녹말이나 셀룰로오스와 같은 거대한 분자로
바
뀐다. 밤에는 낮에 생성된 녹말이나 셀룰로오스는 다시 포도당으로 변해 줄기나 뿌리로 이동해간다. 그러나 잎 복판의 중앙 잎맥을 잘라 놓으면 포도당의 이동통로가 끊어진다. 따라서 잘라진 중앙잎맥을 중심으로 ... ...
멸종위기 동물 어떻게 되살리나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추진하고 있다.황교수의 연구는 이미 1998년 위스콘신대학의 연구자들에 의해 시도된
바
있다. 이들은 원숭이, 쥐, 돼지 귀에서 추출한 세포핵을 소 난자에 넣어 시험관에서 성공적으로 발생시켰다. 중국에서는 멸종위기동물인 황금원숭이나 팬더곰과 같은 멸종위기동물의 복제를 시도했다. 심지어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10만개의 염기를 가진 인공DNA도 조만간 합성될 가능성이 크다.
바
이러스 수준의 생명체(
바
이러스를 생물로 보지 않는 견해가 있긴 하지만)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핵심부품’이 준비되는 것이다.앞으로 인공DNA의 합성은 생명공학연구에 폭발적인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전망이다. 인체 ... ...
1. 수학을 배워서 어디에다 쓰나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훈련시키는 학문이다.단순히 과학을 배우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바
르게 생각하고
바
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언어다.수학이 비록 실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는 면이 많다하더라도,눈에 보이는 쓰임에만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금전이 쓰임이 많아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것과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