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대"(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초속 299,792,458m를 약속하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이 둘을 기준으로 빛의 속도를 측정했던 것이다. 빛의 속도를 약속으로 정한 이후 상황이 반대로 변했다. 이젠 1m가 빛이 1/299,792,458초 동안 진행한 거리로 정의된다.과학자들이 빛의 속도를 약속으로 정한 이유는 워낙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리학에 등장하는 상수 중 빛의 속도가 들어가지 않는 ... ...
- PART 4. 추위가 불러온 '인간성'의 폭발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석기)을 남겼다. 인류의 진화는 석기의 진화와 나란히 일어나기 때문에, 석기를 통해 반대로 인류의 진화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초기의 원시적인 석기는 올도완이라고 부르며 약 100만 년 지속됐다. 150만 년 전, 이 석기는 아슐리안 석기로 진화했 다. 아슐리안 석기는 큼직한 돌의 전면을 계획적으로 ... ...
- [Life & Tech] 사랑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그리고는 한 집단에게는 ‘즐겁지만 상대적으로 새롭지는 않은’ 활동을 하게 하고, 반대편에는 ‘새롭지만 상대적으로는 즐겁지 않은’ 활동을 하게 했습니다. 10주 뒤 새로운 활동 위주로 시간을 보낸 커플들의 친밀도가 훨씬 증가했습니다.[루시 브라운 교수가 실제로 사용하는 ... ...
- PART 1. “2015년, 지금은 빙하시대”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호주와 비교해 보니 양상이 반대였다. 즉 남반구와 북반구의 기후가 마치 시소처럼 반대 경향을 보인다는 뜻이었다. 이 경향은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만 밝혀져 있었는데 이번에 중위도에서 처음 밝혀졌다. 조 박사는 “(많은 비와 온난화를 불러오는) 열대수렴대(ITCZ)가 북상하거나 남하하면서 ... ...
- [과학뉴스] 온실가스 배출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허용량을 정한 뒤, 이를 초과한 기업은 초과한 양만큼 배출권을 사야 하는 제도입니다. 반대로 할당량보다 온실가스를 덜 발생시킨 기업은 그만큼 배출권을 팔 수 있지요.우리나라는 2012년 5월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및 할당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올해부터 시행되고 있는데요,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마리와 함께 ‘수학 뜨개질’을 해 보는 게 어떨까. 수학 원리를 활용해 뜨개질을 하고, 반대로 뜨개질을 통해 수학 원리를 탐구해 보자.뜨개질 하는 수학자들뜨개질을 한다고 하면, 누군가에게 선물할 목도리를 짜는 여자 친구나 흔들의자에 기대 앉아 실을 꿰는 할머니를 떠올릴지 모른다. 그런데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둘을 더한다고 보면 됩니다. 빛의 경우 마루끼리, 골끼리 겹치면 더 밝은 빛이 되고요. 반대로 두 파동이 엇갈려 겹치면 둘이 합쳐져 진폭이 0이 됩니다. 빛의 경우는 어두워지는 것이고요.이후 프레넬, 맥스웰, 헤르츠 등 유명 과학자들이 ‘빛의 파동설’에 힘을 실어 줘서 제가 이 자리에 나올 수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꼭 누운 상태로 음식을 먹는 것처럼 소화가 잘 안 되는 거야. 아! 소장과 대장에서는 반대야. 장은 소화물을 아래로만 내려 보내는 게 아니라, 형태에 따라 다시 위쪽으로 올리기도 하지. 그런데 중력이 없는 상황에선 이 운동이 훨씬 쉬워. 그래서 지상에서보다 소화도 빨라.”하우스 박사는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말이죠. 그 정도는 우주의 에너지 밀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아인슈타인은 처음에 반대했다던데요.“아마도 결론이 뜻밖이다 보니 선입견 때문에 계산을 착각했던 모양입니다. 나중에 가서 제 답이 맞다고 인정했습니다.”┗ 우리가 사는 우주가 정말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도 있을까요?“글쎄요.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호는 얼음 사이에 낀 채 그저 상황을 견딜 수밖에 없었다.남반구는 북반구와 계절이 반대다. 애초에 12월에 사우스조지아 섬을 떠난 것도 이 때가 그나마 남극의 ‘여름’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2월이 되자 그 여름도 끝나갔다. 남은 것은 점점 더 매서워지는 추위와 부족해지는 식량, 연료였다.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