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0 과학동아가 만난 과학기술 이슈 TOP 5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화산폭발을 예측하는 연구에도 적용됐다. 뿐만 아니라, 먼 우주의 새로운 행성을 발견하는 연구에도 인공지능의 빠르고 정확한 분석이 돋보였다. 인공지능과 5세대 이동통신(5G) 기술을 장착한 지능형 로봇은 더 정교하게 발전했다. 과학동아에서는 최신 인공지능 기술인 그래프 인공신경망, ... ...
- [헥!헥! 핵물리학자] 과장은 없다! 이게 바로 광속...‘핵’ 빠르게 던지는 가속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견된 원소를 원자 번호 순서대로 보기 쉽게 배열한 표.힉스: 2012년 LHC에서 처음 발견된 기본 입자.표준 모형 이론에 따르면, 힉스는 모든 입자에게 질량을 부여한다. ※필자소개. 임상훈(부산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한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일으킨 거예요. '이 현상은 1838년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페히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됐어요. 이후 영국의 과학자 벤함이 팽이를 이용해 설명했지요. 이 때문에 ‘페히너의 주관색’ 또는 ‘벤함의 팽이’라고 불리게 되었답니다. 팽이의 색과 도형을 다르게 바꾸면 어떻게 다르게 보이는지, ... ...
- [한장의 과학] 배고프면 동족도 꿀꺽! 알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동안 발굴된 2368개의 화석 중 29%에 달하는 684개의 공룡 화석에서 육식공룡의 이빨 자국이 발견되었지요.뼈에 남겨진 이빨 자국은 누가 어떤 공룡을 먹었는지 알 수 있는 증거예요. 연구팀이 이빨 자국을 비교해보니 대부분이 알로사우루스의 것이었어요. 특히 알로사우루스의 이빨 자국이 나 있는 뼈 ... ...
- [특집] 직접 만들면 전율! 미궁 게임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문제 풀이로 이어지는 데 교실에선 교사가 돌아다니며 문제를 풀기 어려워하는 걸 발견하고 지도할 수 있지만, 온라인 수업에서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미궁 게임은 직접 아이들이 문제를 풀어야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할 수 있었다. 송 선생님은 수학을 어려워하는 친구들도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한 번 증명된 셈이다.DNA 복제 스트레스가 알트를 늘린다 알트는 한때 암세포에서 발견되는 무분별하고 무작위적인 현상으로 간주됐다. 그런데 최근 발표된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알트는 정교하게 조절되며 생체 내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기전이다. 알트가 발생하는 텔로미어는 DNA가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드디어 발사 성공! 새로운 시작을 열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분석한 결과, 2단 엔진이 연소하는 과정 중에도 외관이나 노즐 파손 등 이상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스페이스 클럽’ 세계 11번째 가입 한·러 전문가들은 드디어 마음껏 서로를 축하해 줄 수 있었다. 나로호 발사 성공으로 한국은 자국 위성을 자국 발사체로 자국 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 ...
- 코로나19 , 1년 과학이 밝힌 숫자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감염병이다. 11월 4일 생물다양성 과학기구(IPBE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발견되지 않은 바이러스는 약 170만 종이다. 주로 포유류와 조류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최대 82만 7000종의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도 전염된다. 한편 유엔환경계획(UNEP)은 지난 7월 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 ...
-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2100광년 떨어져 있지요. 프랑스의 천문학자 피에르 메셍이 1781년 3월 27일에 처음으로 발견했어요. 그리고 프랑스의 천문학자 샤를 메시에가 그 위치를 확인하고 메시에 목록의 최종본에 수록했지요.이 은하는 지름이 17만 광년으로 우리은하보다 커요. 약 1조 개의 별이 있는데, 이는 우리은하보다 두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계산법을 창의적으로 해결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처럼 스타트업 운영은 문제를 발견하고, 모순을 정의한 뒤 사고를 전환해 해결하는 과정의 연속이다.”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2014년 열린 ‘스타트업 네이션스 서밋’에서 스타트업의 업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가우스는 만 7살 때 1과 10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