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수준"(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어림잡아 0.1mL 정도 들어가더군요. 보통 병원 검사의 100분의 1에서 500분의 1 수준입니다. 이렇게 적은 양을 가지고 그 많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데 놀랐습니다.”테라노스에는 세 가지가 없다. 우선 주사가 없다. 주사 대신에 손가락 끝을 바늘로 살짝 찔러 혈액을 채취한다. 홈즈는 테드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의료용으로 쓰는 플라즈마 나이프는 이미 상용화 돼 있죠. 당장은 칼싸움이 가능한 수준의 광검을 만들 수는 없지만 미래에는 가능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고체처럼 서로 부딪히는 방식으로 칼싸움을 하지는 못할 겁니다.”라이트세이버를 만들 수 있다니! 스타워즈 팬들에게는 희소식이다.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쓸 때 학계에서 사용하는 수학 기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종종 대학 학부생 수준의 증명도 하지 못했다. 수학자들과 교류도 거의 없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독특한 풀이 과정은 종종 다른 수학자를 당황하게 했다. 하지만 라마누잔은 다른 수학자가 만든 식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 ...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28%사이라는 뜻입니다.신뢰구간의 폭이 좁으면 모든 사람의 상대적 위험률을 신뢰할 만한 수준으로 찾은 것입니다. 그리고 이 구간을 통해 가공육과 대장암이 정말 관련이 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상대적 위험률이 1이면 가공육을 기준보다 적게 먹은 사람과 많이 먹은 사람의 대장암 ... ...
- [PART 1] 화석이 알려주는 인류의 진화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가지고 계산해낸 뇌용량은 465~560cm3이었다. 이것은 사람(1200~1600cm3)의 절반도 안 되는 수준이다. 심지어 직립보행을 처음 시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호모 에렉투스(900cm3)보다도 훨씬 작은 수치다.데이비드 로퍼 미국 버지니아공대 물리학과 교수는 몸무게와 뇌 질량의 비율을 구해 인류가 진화하면서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생각하고, 경기 전략에 활발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30년이 조금 넘은 수준의 한국 프로야구 데이터는 미비하다. 역사가 짧은 만큼 지표 분석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메이저리그에서는 피타고리안 승률에 득점과 실점의 지수를 처음에는 2를 사용하다가 현재는 1.83을 사용한다. 3월 ... ...
- 수능 보는 로봇, 머릿속에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위노그래드 도식 시험’ 등이 대표적이다. 왜 갑자기 대학 입학 시험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을 평가하게 된걸까. 장 교수는 “인공지능의 목표는 결국 인간”이라며 “인간이 가장 치열하게 치르는 시험인 수능이 기준이 되는 건 어쩌면 당연한 수순일지 모른다”고 말했다.결국 우리의 입시가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그 결과 실제 도로를 주행할 때는 성능이 높은 대신, 질소산화물은 기준치의 최대 40배 수준으로 배출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어쨌든 ‘유로6’ 기준에 맞췄다현재 국내산 승용차 가운데 디젤차의 비중은 지난해 7.3%로 재작년보다 3.3% 증가했다. 수입차 중 디젤차의 비중은 63.7%에 달한다. 한국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화성에서 첫 번째 작업이 옷을 만드는 일이 될 줄은 상상도 못했다. 다행히 낙담할 수준은 아니다. 오픈소스 우주복 개발 프로젝트인 엑소스킨(EXOSKN)을 활용해 우주복을 제작할 생각이다. 영국의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스테파니 포가 시작한 프로젝트로, 미래의 우주탐험가들이 조작하기 쉬운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우리가 잡는 물고기 종의 90%는 지속 불가능한 수준으로 남획되고 있기 때문이다(유엔 식량농업기구(FAO) 2014 통계).크고, 빨리 자라는 물고기가 사라진다인간의 먹이활동은 종의 형질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빨리, 크게 자라는 형질이 사라지고 있다. 번식할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