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9명으로, 가장 많은 연구자가 포함된 분야는 약리학및독성학 분야다. 이은성(가톨릭대)·박광식(동덕여대)·박태관(KAIST)·김광명·권익찬(한국과학기술연구원)·박재형(성균관대)·최진희(서울시립대) 등 ...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연구결과를 내놨다.연구팀은 태아에서부터 신생아, 성인까지 발달 단계별로 11개씩 총 33개의 혈액 샘플을 실험했다.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전까지는 조혈모세포가 ...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목은 다른 익룡에 비해 확실히 길지만, 목뼈의 개수는 다른 익룡과 같다(익룡의 목뼈는 총 9개). 대신 각각의 목뼈가 길었다. 그렇다 보니 이들의 목은 생각보다 유연하지 못했다. 그 덕분에, 마치 낚시꾼이 뻣뻣한 낚싯대를 이용해 월척을 낚아 올리는 듯 케찰코아틀루스도 뻣뻣하기 그지없는 목을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베일(veil)’이라고 부릅니다. 베일로 둘러싸인 건물은 지하 1층부터 지상 4층까지 총 5개 층으로, 면적은 7825m2에 이릅니다.영국 정부는 6100만 파운드, 우리나라 돈으로 1049억 원을 들여 지난해 3월 연구소 문을 열었습니다. 천문학적인 돈이 든 건 그래핀 제작 조건이 그만큼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 ...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늦게 참여했지만 현재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최근엔 이터 기술총괄 사무차장으로 이경수 전 국가핵융합연구소장이 선임되기도 했죠. 우리나라의 핵융합연구 장치인 케이스타(KSTAR)의 건설 기술이 인정 받은 겁니다.전소리: 케이스타 설계에 참여하셨던 다른 분들도 프로젝트에 ... ...
- [지식] 설문조사의 함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P(B)는 전문직 여성일 확률,P(A∩B)는 전문직 여성이고 미혼일 확률이 되지요. 응답자가 총 37명이니 P(A)는 7/37 이고, P(B)는 4/37 , P(A∩B)는 26/37 입니다.이제 뭐가 이상한지 보이나요? 바로 전문직이고 미혼일 확률 P(A∩B)=26/37 이 미혼일 확률 P(A)= 7/37 과 전문직 여성일 확률 P(B)= 4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정확히 측정할 수 있어. 미세한 부분의 길이도 모두 재야 되니까 긴 자로 잴 때보다 총 길이도 더 길게 나오게 되겠지.”“알겠어요. 음, 해안선 말고는 또 없나요?”“또 있지. 나무 가지가 그냥 마구잡이로 뻗어 있는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이 속에도 일정한 규칙이 있어. 가장 큰 가지와 거기서 ... ...
- [Tech & Fun]내 연구가 춤이 된다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자신의 전공 분야를 춤으로 표현해 경쟁하는 대회다. 물리학, 생물학, 화학, 사회과학 등 총 4개 부문의 우승자 가운데 3명을 e메일로 인터뷰했다.어둠이 깔린 무대, 아홉 명의 여성 무용수들이 비장한 음악에 맞춰 하나 둘씩 움직이기 시작한다. 조명에 따라 시시각각 대열을 바꾸며 추는 군무는 ... ...
- [News & Issue]남자가 길 잘 찾는 이유는 ‘해마’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연구원팀은 남자와 여자 각각 18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가상현실 길찾기 게임을 시켰다. 총 45개의 미로를 30초씩 미리 보여준 뒤, 실제로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측정했다.실험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50%가량 더 많이 길찾기에 성공했다. 이때 ... ...
- 그땐 그랬지! 1988 VS 2016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영상이 눈앞에 펼쳐지지요.이때 시야각은 100˚나 돼요. 사람의 시야각은 한쪽 당 45˚씩 총 90˚ 정도이기 때문에 시야각이 100˚가 되는 오큘러스 리프트를 쓰면 마치 게임 세상 속에 들어가 있는 느낌이 든답니다. 여기에 센서와 가속도계, 나침반이 게임기를 착용한 사람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해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