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d라이브러리
"
평소
"(으)로 총 2,42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있다. 따라서 미래의 문구는 전자적인 기능인 결합된 형태로 발전할 것이라 보고 있다.
평소
에는 볼펜으로 쓰다가도 휴대전화나 컴퓨터 등에서는 전자펜으로 쓰게 될 것이다.이지 체크(줄자)눈금마다 톱니처럼 홈이 나 있어 길이를 잴 때 정확하고 빠르게 눈금을 읽을 수 있다. 또 줄자 윗면에는 ... ...
PART 2 수학이 없는 학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수 있는 산의 높이도 대부분 이런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해 간접적으로 잰 것이다.우리가
평소
이용하는 지도는 수학적으로 모든 면에서 정확하진 않더라도 특정 기준에서는 정확하다. 그런데 수학이 사라지다 보니 이것마저 엉망이 된 것이다. 이처럼 지도는 수학을 기본으로 그려야 우리가 믿고 쓸 ... ...
내 옆에 있는 두 얼굴의 소시오패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도리어 인정받는 아이러니가 판을 치고 있다. 양심은 일상적이고 자연스럽기 때문에
평소
에는 의식이 잘 되지 않는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사회적으로 양심이 차지하는 범위는 매우 크다. 온갖 치사하고 거짓된 방법으로 집단의 이익을 추구하는 듯한 소시오패스적 엘리트보다 본인에게 주어진 ... ...
스스로 싸우는 전투 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입는 로봇은 외골격처럼 생긴 기계 장치로, 병사가 입고 움직이면 그 힘을 증폭시킨다.
평소
보다 무거운 짐을 지고 행군하거나 더 크고 무거운 무기를 쓸 수 있게 해 준다. 다리로 움직이는 인간형 로봇은 장점이 많다. 바퀴나 캐터필러로 움직이는 로봇과 달리 다양한 지형에서도 움직일 수 ... ...
Part 2. 아름다운 한복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아침, 성묘에 가려고 온 가족이 한복을 입었어요. 알록달록 색이 고운 한복은
평소
에 잘 입지 않지만 왠지 모르게 편했어요. 한복을 입고 한껏 기분이 들뜬 제게 어머니는 한복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를 해주셨어요.편안한 한복, 알뜰한 우리 옷우리 옷 한복에는 조상의 지혜가 담겨 있단다. 한복이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조소영(경기 화성시 솔빛중 1) 양은 “매미 소리가 어떻게 나는지 알게 됐다”며 “
평소
에 집에서 해보지 못한 걸 선생님과 같이 해서 즐거웠다”고 말했다.“우리는 과학동아 열혈 독자”모둠을 짜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아보는 시간도 있었다. 지능형전력망으로 불리는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덧붙여야 한다. 또 제시문에서 주어지지 않은 조건은 답안 작성시 별도로 정의한다.
평소
에 논술을 대비하기 위해 대학과정까지 학습할 필요가 없다. 수능에 대비한 교과과정 안에서 심화된 문제까지 폭넓게 공부하길 권한다. 특히 단원별 통합 문제를 두루 접하는 게 좋다. 공간에서의 정적분,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조심스럽게 문을 두드려 봤어. 똑똑똑….*돔 : 망원경이 들어 있는 건물의 지붕으로,
평소
에는 닫혀 있다가 별을 볼 때만 열린다.전영범천문대장님 : 반가워요.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 친구들이죠? 기다리고 있었어요. 보현산천문대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곽유진기자 : 앗! 천문대장님 깨어 ... ...
달콤쌉쌀한 첫사랑에 빠진 도형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렇게 맛없는 음식을 내다니 경성에선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오.”“정말 죄송합니다.
평소
사용하던 저울의 눈금이 이상해져서 계량이 잘못됐습니다. 다시 만들어 오겠습니다.”고개를 들지 못하는 주방장 앞을 한 소녀가 가로막으며 말한다.“우리 아빠의 요리는 이스탄불 최고라고요. 저울만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는 전체 생물 중 5분의 1일 뿐이다. 나머지 5분의 4는 바다 속에 살고 있다”
평소
생물종에 관심이 있던 사람이라면 이번 해양생물 센서스의 보고서를 보고 이상한 점을 발견했을 것이다. 지구에서 육지의 면적은 30%에 불과하지만 해양은 70%에 이른다. 그러나 발견된 해양생물종은 23만 종으로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