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기준"(으)로 총 1,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8/15 광복 71주년 기념 기사 - 평화의 소녀상에 대하여기사 l20160815
- 합쳐 모두 10개나 설치했답니다. 소녀상은 외국에도 벌써 3개나 설치됐습니다. 현재 소녀상의 개수는 무려 33개입니다. 오늘 8/15 광복절 기준으로 4개가 추가됐습니다. 여러분! 우리의 역사가 담겨져 있는 소녀상들이 있는 곳을 한번 찾아가보시는 것은 어떤지요? ▶ 강릉 ▶ 거제 ▶ 경기 고양국립여성사박물관 ▶ 고양 ...
- 인기를 끌고 있는 SANDBOX NETWORK에 대하여기사 l20160809
- 있다고 하더군요. 그 방법을 쓰지않고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은 바로 SANBOX NETWORK에 들어가서 크리에이터 신청을 하면 됩니다. 심사 기준은 창의성을 보고 기술도 보고 크리에이터의 자격이 있는지 본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언제나 항상 우리들에게 웃음을 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 여름철 몸보신을 위해 개고기를 먹는 것,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로 존중해야 할까요?토론 l20160802
- 한다고 말하기도 했어요. 영국 의회가 운영하는 홈페이지에서는 ‘한국 개고기 거래 금지 촉구’ 서명을 받고 있는데, 7월 26일 기준으로 10만 명 넘게 서명했다고 해요. 여름철 몸보신을 위해 개고기를 먹는 문화, 기자단 친구들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찬성: 복날 개고기를 포함해 보양식을 먹는 것은 우리나라의 문화에요. 우리의 전통을 존중해 ...
- 573년 만에 다시 움직인 조선의 표준시계 자격루기사 l20160706
- 수 있었다는 것이죠. 국립고궁박물관 서준 박사님에게 물어본 질문들입니다! Q: 물을 붓는 시점은 어떤 기준으로 했나요? A: 정오를 기준으로 붓습니다. Q: 옛날 자격루는 높이가 꽤 높던데 장영실 혼자서 만드셨을까요? 합동 작업이였을 것 같은데 몇 명이 모여 만들었나요? A: 몇 명인지는 모르지만 대략 20~30명 정도 함께 ...
- 광물의 분류와 관찰 방법기사 l20160517
- 각섬석, 장석 등이 있습니다. 그러면 광물은 어디서 만들어질까요? 광물은 여러 곳에서도 생긴답니다. 그럼 광물이 생기는 곳을 기준으로 삼아 4가지로 분류해 보겠습니다. 퇴적광물, 광맥, 화성광물, 변성광물이 있는데요. 퇴적 광물은 지구표면에서도 생긴답니다. 쉽게 생각하면 석회암의 주원료인 방해석이 있습니다. 광맥은 화산 아래에서 흐르는 물 ...
- 만 나이 VS 한국식 나이, 어떤 것을 사용할까?토론 l20160516
- 응답이 44.0%로 조사됐지요. 한국은 주민등록증이나 공공서류에는 국제공통 나이인 ‘만 나이’를 쓰고 있어요. 만 나이는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세는 방법이지요. 하지만 일상적으로는 태어나면 바로 한 살을 먹고, 해가 바뀌면 다시 한 살을 더 먹는 한국식 나이를 쓰고 있어요. 그래서 나이를 이야기할 때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논란이 되고 있답 ...
- (Base ball) 야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기사 l20160502
- 야구장의 특징 위의 사진은 문학야구장 입니다. 보이는 것처럼 파울선(양 옆의 흰선)을 기준으로 다이아몬드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야구장을 다이아몬드라고도 합니다. 야구용어 ( 왼쪽:약자, 중간: 한글, 오른쪽: 영어) 도움(보살) assis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두족류, 복족류 등 매우 다양한 화석이 산출되는 곳이라고 한다. 지구 상에서 제일 먼저 출현한 절지동물인 삼엽충의 생존기간을 기준으로 고생대 캄브리아기를 30여 개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 나온 삼엽충 화석을 연구한 결과 현재 북위 38°부근에 위치한 우리나라가 5억 년 전에는 적도 부근에 있었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 있었다. ...
- [연속기획] 나의 조선왕릉 답사기, 제5회 파주 삼릉을 다녀오다 제2편 영릉: 영릉, 세 개의 묘비가 말해주는 추존 진종소황제와 효수소황후의 애달픈 이야기기사 l20160419
- 위한 기억에 남을 만한 경건한 장소가 창조되었다는 점을 눈여겨 보아야 한다. 말 그대로 왕릉을 조성할 때 아름다움이나 존엄이라는 기준을 들어 주위의 자연경관을 헤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곳 영릉에 있는 난데없이 불쑥 도드라진 바위야말로 조선왕릉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라고 생각한다. 빗물에 자연스럽게 드러난 소나무의 뿌리를 계단 삼아 ...
- 학교폭력의 기준기사 l20160412
- 마음에 난 상처가 학교폭력의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그건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낍니다. 그치만 제 생각은 마음에 난 상처가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그것만이다는 아닙니다.신체폭력도 그 기억,고통이 오래 기억될것이고,언어폭력도 마찬가지입니다.사람들에게 학교폭력 중 신체폭력과 언어폭력중 어느것이 더 나쁠것 갓다고 물어봐도 모든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