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27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이 가뭄을 버티는 비법 찾았다
2015.09.08
죽지 않고 잘 버틸 수 있다는 데 주목했다. 지금까지 이 단백질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에
관여
하는 호르몬을 합성하거나 조절하는 기능만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유카 단백질이 활성산소로부터 식물체를 어떻게 지켜주는 지 알아내기 위해 단백질을 구성하는 물질인 ‘아미노산’의 서열을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a tumor suppressor function of the wild-type p53 gene. 이 데이터는 p53 유전자 돌연변이가 대장암에
관여
함을 시사하는데, 아마도 정상 p53 유전자의 암 억제인자 기능을 비활성화시킨 결과일 것이다. 1971년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천문학적인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 ...
‘인공 세포핵’ 유전 질환 치료길 연다
2015.09.04
이상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엄 교수는 “발광 유전자 대신 정상 유전자나 치료에
관여
하는 유전자를 넣어 유전 질환을 치료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재료과학 분야 전문지 ‘스몰’ 8월 27일 자에 실렸다. ... ...
수학으로 ‘생체리듬’ 설계했더니, 실제로 움직여
2015.08.28
못하고 있다. 가령 체온이 오르내리는 간단한 생체리듬에도 여러 종류의 생체회로가
관여
할 만큼 복잡하기 때문이다. 김 교수는 수식을 이용해 생명체가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리듬을 유지할 수 있게 해 주는 생물학적 회로를 고안했다. 유전자와 단백질을 변수로 삼아 일종의 소프트웨어 ... ...
노벨상 받았던 ‘소포체’ 형성원리, 국내 연구진이 밝혔다
2015.08.26
것이라고 추정했다. 스네어 단백질은 진핵세포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막 융합 과정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세포 속에서 두 단백질을 생성하는 유전자를 조작해 실험했다. 실험 결과 스네어 단백질 없이 아틀라스틴 단백질만 생성한 경우는 소포체 구조가 ... ...
효모 정밀화학공장, 말라리아치료제에서 마약성진통제까지 생산
2015.08.24
기고문으로 모르핀 합성생물학을 다룬 건, 그동안 그렇게 찾아왔던 광학이성질체 변환에
관여
하는 효소를 양귀비에서 규명하는데 마침내 성공했기 때문이다. 즉 캐나다 캘거리대 생명과학과 피터 파치니 교수의 제자인 길라움 보두앙의 박사학위 논문이 알려진 것(학술논문은 7월 1일 ‘네이처 ... ...
세포 자정작용 이용…신개념 항암 치료법 나왔다
2015.08.19
문제가 생기면 정상세포가 암세포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세포청소에
관여
하는 RNA 간섭(RNAi) 현상을 이용한 유전자 조절기술이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 치료법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원하는 세포에 siRNA를 전달하는 기술이 없어 실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실험실 ... ...
“우울증, 비만 치료제 남성에게 효과 없어”
2015.08.18
식욕 등에
관여
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물질이다. 이번 연구로 연구진은 뇌신경계에
관여
하는 약물의 효능도 남녀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 알아낸 것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쥐를 대상으로 진행됐기 때문에 사람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낼지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 ...
니코틴 중독 만드는 건 ‘마이크로RNA’
2015.08.12
몸속으로 받아들이는 단백질인 ‘니코틴 수용체’가 가장 많으며 금단현상 등에
관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하베뉼라에서는 니코틴 수용체 자체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돼 왔지만 연구팀은 시각을 바꿔 마이크로RNA에 주목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이 부위에서 유전자 발현 정도를 ... ...
주인 얼굴 보고 꼬리치는 개, 반가워서? 배고파서?
2015.08.04
4일자에 밝혔다. 지금까지 인간이나 영장류만 타인이나 다른 종의 얼굴을 인식하는 데
관여
하는 뇌 부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 연구를 통해 다른 동물에게도 얼굴을 인식하는 신경세포가 있다고 밝혀진 적은 있지만 뇌의 한 영역 전체가 활성화된다고 밝혀진 동물은 개가 처음이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