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SA
뉴스
"
미국항공우주국
"(으)로 총 2,2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의 초기 투자, 스페이스X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3
는 미국 정부의 투자로 우주산업의 민간 생태계가 조성됐다는 보고서를 18일 내놨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정부의 과감한 우주산업 투자가 민간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새로운 생태계인 ‘뉴스페이스’를 이끌어냈다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 미국 공군 등 미국 정부 기관이 민간 ... ...
미·러는 왜 화성 메탄 존재 여부 놓고 다른 결과를 내놨나
과학동아
l
2019.06.22
직접 지구에 가져와 분석하는 것이다. 화성 표면을 뚫어 지하를 직접 확인할 수도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이 2020년 7월 발사 예정인 새로운 화성 탐사 로버 ‘마스 2020’은 기존 로버들과 차별화된 임무를 수행한다. 화성에서 채취한 시료를 로버 안에 보관하고 있다가 뒤이어 도착하는 회수선에 실어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 "실패해도 걱정마" 기업의 도전 전폭 지원하는 이스라엘(하)
동아사이언스
l
2019.06.21
이스라엘 시민들을 매료시키고 단결시켰다”며 “정부의 지원을 두 배로 늘리고
미국항공우주국
(NASA)과의 협력을 심화하기로 한 이번 결정은 베레시트 2호의 성공적인 달 착륙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며 스페이스IL 지지 의사를 공고히 했다. 실제로 ISA는 NASA에 베레시트 2호에 ... ...
인류 달 착륙 뒤에 가려진 진실…과학동아 7월호 ‘SPACE’ 특별판
과학동아
l
2019.06.20
화장실이 없다. 볼일을 보려면 비닐 주머니를 몸에 붙여 배설물을 회수해야 한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2018년 1월 공개한 아폴로 10호 녹취록에는 누군가 배설물 주머니를 제대로 단속하지 못한 정황이 담겨 있다. 매우 사적인 내용이 담긴 이 기록은 ‘극비(CONFIDENTIAL)’로 분류돼 있었다. ... ...
[우주개발의 뉴웨이브]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상)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룩셈부르크가 유럽의 우주 자원 탐사 및 활용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이 계획하고 있는 광물 채취 위성이 소행성을 향해 날아가는 모습의 상상도. 원통형의 그물망에 소행성 조각을 넣어 달 궤도까지 끌고 온다. NASA 룩셈부르크는 유럽 지역 철도, 도로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시니호가 마지막으로 보내온 토성 고리 모습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마치고 토성 탐사선 카시니 하위헌스호가 토성에 낙하해 불타 사라졌다. 이 탐사선은
미국항공우주국
(NASA)와 유럽우주기구(ESA)가 공동 개발해 1997년 10월 1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됐다. 탐사선은 2004년 7월 1일 토성 궤도에 진입하며 본격적인 탐사 임무에 착수했다. ... ...
우주여행 시대 코앞··· 우주멀미, 방사선 영향 등 집중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든 동물은 기울어진 면을 바닥으로 인지하고 고중력 상태를 느낀다. 인하대병원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내년인 2020년부터 일반인도 우주여행을 갈 수 있도록 한해 두 차례 국제우주정거장(ISS)을 개방한다는 계획을 10일 밝혔다. 왕복 우주선 티켓이 약 5800만달러(약 680억원)이며 최대 30일까지 ... ...
美 탐사선이 관측한 토성 고리의 ‘속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언 얼음으로 구성돼 있는데, 크기가 먼지만 한 것에서부터 자동차만 한 것까지 다양하다.
미국항공우주국
의 토성 탐사선 ‘카시니 하위헌스’호가 13년간의 토성 탐사 임무를 마치고 2017년 9월 15일 토성에 낙하해 불타 사라진 지 1년 9개월이 지났다. 카시니 하위헌스호는 마지막 수개월 동안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시황은 왜 도량형을 통일했을까
2019.06.13
폭발 또는 궤도이탈)된 사건이 있었다. 원인은 도량형 불일치였다. 탐사선을 운용했던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미터법을 쓴 반면 제작사인 록히드 마틴은 야드법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만들었다. 우주탐사에 가장 독보적인 미국에서, 그것도 20세기 말에 이런 사고가 있었다니 잘 믿기지 않는다. ... ...
"차별에 대해 어떻게 투쟁했나"…NASA본부에 '히든 피겨스' 거리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필 멘델슨 워싱턴DC 시의회 의장, 마고 리 셰털리 작가가 거리 현판을 공개하고 있다.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1960년대 미국 유인 우주탐사 프로그램에 공헌한 숨은 공로자들이던 흑인 여성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을 기리는 거리가 들어섰다.
미국항공우주국
(NASA)은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