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뉴스
"
자연
"(으)로 총 4,83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른 영양분 섭취·식량불안정 해결책은 수산식품"..."기후변화 대응에도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1.09.20
이산화탄소의 양이 오히려
자연
산에서 채취할 때 배출되는 양보다 적었다. 연구팀은 “
자연
산 수산식품은 이송을 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양이 많다”며 “양식은 그런 점에서 자유로워 오히려 배출량이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푸딩 같기도, 태양계 같기도…원자모형의 진화
2021.09.18
원자의 존재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원자는 애초에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자연
의 최소단위로 도입되었다. 그래서 이름도 ‘아톰(atom)’이다. 더 이상 쪼개지지 않는 최소단위라는 말은 다시 말해 원자가 하나의 점입자로서 그 안에 어떤 하부구조를 갖지 않는다는 뜻이다. 영국의 물리학자 ... ...
박쥐→사람 전파 매년 40만 건 이상 발생…다음' 신종 코로나' 발생 지역은?
동아사이언스
l
2021.09.16
약 4억7800만 명이 살고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가 특정 실험실에서 유출된 것이 아니고
자연
에서 발생했다고 가정하고 그 다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어디에서 출현할 것인지에 대해 연구했다. 연구 대상인 박쥐 23종이 많이 사는 지역 중에서 인구 수가 많고, 사람과 박쥐간 접촉 빈도가 높은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방사선 기술로 개발한 살모넬라 백신 씨티씨백에 이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5
독성을 줄인 약독화 생백신으로 사백신보다 2배 이상 감염예방 효과가 높다. 생백신은
자연
돌연변이로 개발해 시간과 인력이 많이 필요했지만 방사선으로 많은 돌연변이를 유도해 백신 개발 기간을 수년에서 2개월 이내로 단축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부터 다음달 13일까지 ‘202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계천의 왜가리는 별종일까
2021.09.14
우연한 선택이 특정 유전형을 선택하는 결정적 변수가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경우
자연
선택이라기보다 문화선택이라고 봐야 맞지 않을까. 고등 동물뿐 아니라 곤충도 문화생활을 한다는 게 밝혀졌다. 등이 빨간 수컷과 녹색인 수컷 가운데 후자와 짝짓기하는 장면을 지켜본 암컷은 나중에 ... ...
30년새 개화·매미 울음 들리는 시기 빨라지고 얼음·서리 구경 어려워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관측 종목과 장소, 방법에 따라 매년 동일 지점에서 동일개체에 대해 관측하는 것이다.
자연
상태에 놓여 있는 매미와 제비 등 동물 9종과 매화와 개나리 등 식물 12종, 서리와 얼음 등 기상현상 5종을 관측한다. 이에 따르면 봄꽃 개화일이 이전 평년인 1981~2010년보다 신평년 1991~2020년에서 더 빨라진 ... ...
[과학게시판]14일 '경주지진 이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나' 포럼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9.14
소개하는 전시품 속 과학이야기’이다. 참가 희망자는 상설전시관인 과학기술관‧
자연
사관‧미래기술관 등을 관람한 뒤 소개하고 싶은 전시품을 골라 5분 이내의 영상을 제작해 신청서와 함께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 ...
[표지로 읽는 과학]고대 도마뱀 화석에서 뱀과 도마뱀의 기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1
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히카르도 마르티네즈 아르헨티나 산후안국립대
자연
과학연구소 척추동물및고생물학 책임자 연구팀은 고대 도마뱀의 두개골 화석을 조사해, 약 2억3100만년 전에 살았으며 비늘을 가진 파충류인 '레피도사우루스(인용류아강)'의 선조격이라고 추정했다. ... ...
[인터뷰]식물에게 듣는 노화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09.11
노화에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최근 전 세계에서 가뭄과 홍수, 해수면 상승 등
자연
재해가 발생하며 작물의 수확량이 급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미 기후변화에 따른 식량 위기가 시작됐다는 경고도 나온다. 우 교수와 같은 식물학자들의 역할이 그만큼 중요해졌다. 노화를 이해하는 것은 ... ...
과학자가 코뿔소 네발 묶어 거꾸로 매단 이유는…2021년 이그노벨상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올해의 '운송상'을 수상한 로빈 래드클리프 미국 코넬대 수의대 교수팀 코뿔소는 국제
자연
보전연맹(IUCN)의 멸종위기 종 가운데 가장 높은 ‘위급’ 종으로 지정돼 있다. 개체 수가 줄면서 하나의 서식지에 유전적 다양성이 줄고 있다. 이 때문에 인위적으로 코뿔소를 다른 서식지로 이동시키는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