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1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
2014.12.04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당시에 국내에서 계측이 안 된 이유는 관측소가 폭발
지점
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정도 폭발 규모면 관측소가 반경 200km 안쪽에 위치해야 하고, 그마저도 파형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겨우 찾을 수 있는 정도다. 홍태경 연세대 ... ...
IT가 이끄는 제3의 물결… 산업의 경계 허물다
동아일보
l
2014.11.27
각종 센서와 통신 모듈이 달려 있다. 따라서 선수의 움직임과 라켓의 위치, 공이 맞는
지점
등 수많은 정보를 수집해 스마트폰 등의 기기로 전송한 다음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테니스 라켓 업체가 단순히 제품만 파는 게 아니라 라켓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토대로 선수의 기량을 향상시킬 ... ...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것처럼 보인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런 원리 때문에 로체스터 망토도 상이 맺히는
지점
에 물체를 놓으면 투명망토 효과가 바로 사라진다. 그간 투명망토 연구는 자연계에는 없는 ‘음의 굴절률’을 가진 메타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메타물질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망토 ... ...
“터치다운! 새 주소는 혜성 67P”
동아일보
l
2014.11.14
상태로 다른 기능은 모두 정상작동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착륙 위치가 원래 목표
지점
인 아질키아에서 벗어나 구덩이에 박힌 것 같다면서 14일 자체 추진력을 이용해 아질키아로 이동시키겠다”고 덧붙였다. 필래는 2, 3일 자체 에너지로 작동하다 이후에는 몸체를 둘러싼 태양전지판에 충전된 ... ...
쇼핑몰 안에서 헤매지 마세요~ 실내 내비게이션이 있잖아요
2014.10.15
계산하는 기능을 추가해 정밀도를 높였다. 오차범위는 5m 정도다. 또 사용자가 직접 관심
지점
(POI)을 입력해 길을 찾아가는 기능을 추가했다. ETRI는 20일 부산에서 열리는 ITU 전권회의에서 시범 서비스를 실시한 뒤 곧바로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박상준 ETRI 위치항법기술연구실장은 “사용자와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아니라 바깥쪽 면을 밟을 때 더 미끄러운 걸까. 바나나 껍질의 입장에서 면이 어긋나는
지점
, 즉 미끄러지는 현상이 일어나는 곳이 안쪽 면이기 때문이다. 즉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안쪽 면이 바닥에서 미끄러지면서 넘어지는 것이다. 바나나 껍질이 미니 보드인 셈이다. 바나나 껍질(epicarp)의 ... ...
몽골에 한국 하늘 감시하는 ‘매의 눈’ 설치
2014.09.23
상반기 중에는 카자흐스탄에 이같은 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지구 남반구 2개
지점
에 동일 시설을 추가로 건설한다. 천문연 관계자는 “우주감시 네트워크는 올해 5월 수립된 ‘우주위험대비계획’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관측시스템이 늘어날수록 인공위성이나 운석 추락 등 ... ...
해파리도 수학으로 먹이 찾는다
2014.09.22
먹잇감이 가장 많이 몰려 있는
지점
과 먼 거리의 먹이로부터 풍겨오는 냄새가 가장 강한
지점
을 탐지하는 능력이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레비 워크의 개념을 기존보다 훨씬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토성을 품은 달'…오는 28일 토성 엄폐현상 일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9.16
토성이 12시부터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한다. 토성은 13시 7분, 달의 우측 중앙 4분의1
지점
부터 다시 나타나기 시작해 13시 8분 완전히 모습을 드러낼 것으로 예상된다. - 국립고흥청소년우주체험센터 제공 오는 9월 28일(일) 낮 12시, 달과 토성이 숨바꼭질을 한다. 달이 토성을 가리는 엄폐현상이 ... ...
퀴~즈, ‘측정할 수 없는 천국’은 무엇을 뜻할까요?
2014.09.05
지금까지 천문학자들은 우리은하가 속한 초은하단이 약 1억 광년 정도 떨어진
지점
에 몇백 개의 은하단이 분포해 있는 구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연구팀은 우리은하가 속한 초은하단의 크기가 그보다 100배 이상 더 크고 조밀한 구조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초은하단 안에서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