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뉴스
"
측면
"(으)로 총 1,63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
과학동아
l
2015.06.29
인공지능 연구자들은 기계가 자의식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에 별 관심이 없다. 실용적인
측면
에서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최근 연구자들은 인간의 지능을 똑같이 모방해야 한다는 강박에서 벗어나 보다 실용적인 문제를 해결하려고 약한 인공지능을 개발하고 있다. 이 교수는 “인간과 정확히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5fC)과 여덟 번째인 카르복실시토신(5caC)의 발견은, 우리가 지금까지 게놈의 역동적인
측면
을 얼마나 과소평가했는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크리스토퍼 나벨 & 라울 콜리 예전에 정보과학을 다룬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언급을 본 기억이 난다. DNA에서 중요한 건 염기의 분자구조가 아니라 한 자리에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부르는 것도 올바른 번역은 아니지만 사실 ‘germ’이라는 용어 자체가 부적절한
측면
이 있다. 따라서 현대의학에서는 병원체라는 용어를 쓴다. 병원체는 세균뿐 아니라 병을 일으키는 모든 미생물(메르스의 경우 바이러스)과 심지어 프리온 같은 단백질도 포함한다. 카사데발과 피로프스키는 ... ...
“감염 발생 즉시 병원名 공개… 환자거주 洞까지 밝혀야”
동아일보
l
2015.06.22
위주의 병실 운영 정책 때문에 1인실이 부족했다”며 “정부도 감염 관리에 대한 투자
측면
에서 1인실 병실 시스템이 정착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전문병원협의회에선 보호자가 아닌 간호사가 환자를 돌보는 ‘포괄간호서비스제도’ 활성화를 감염 방지 대안으로 ... ...
[메르스 업데이트] 한국 메르스 확산은 ‘불운(unlukcy)’의 결과일까
2015.06.17
이에 대해 네이처는 김성한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가 “한국의 경우 운이 없었던
측면
이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의 부실대응 지적에 대해서는 초기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었지만 감염 위험군 추적과 검사는 철저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네이처는 김 교수의 말을 ... ...
네이처 “한국 메르스 사태는 ‘불운’과 ‘미흡한 대응’ 결과”
동아일보
l
2015.06.17
상황이 종료됐다. 김성한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의 경우 운이 없었던
측면
이 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의 부실대응 지적에 대해서는 초기 커뮤니케이션에 문제가 있었지만 감염 위험군 추적과 검사는 철저하게 이뤄졌다고 평가했다. 네이처는 김 교수의 말을 인용해 “초기에 ... ...
무인차, 무인로봇, 무인 선박…기술경진대회를 생각하다
2015.06.14
“대회에서 볼 수 있는 아이디어는 모두가 공유하는 만큼 전 세계적인 기술 향상
측면
에서 긍정적인 면이 크다”고 말했다. 세계 재난대응로봇 경진대회 DRC에서 우승한 팀 KAIST 멤버들의 시상식 모습. KAIST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팀원들과 로봇벤처 ‘레인보우’ 직원들로 구성됐다. - 퍼모나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과학 저널리즘의 미래, 데이터가 답이다.
수학동아
l
2015.06.12
있는지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세이퍼 교수는 데이터 저널리즘의 윤리적
측면
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세이퍼 교수는 “SNS가 활발해지면서 사생활의 기준이 점점 달라지는 것 같다”면서도“저널리스트는 어떤 목적으로 어떻게 정보를 수집할지에 대해서는 항상 고민해야 한다”고 ... ...
기침 환자는 차분한데… 건강한 사람이 더 불안에 떨어
동아일보
l
2015.06.11
전문가 홍보영상 또는 해명 자료를 SNS를 통해 배포하는데, 불안을 잠재우는 데 역부족인
측면
이 있다”고 말했다. 송태민 연구위원은 “고위험 전염병 등 국가 재난 상황이 올 때 SNS 데이터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이에 대한 국가 차원의 모니터링과 대응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유근형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원자력은 미래 에너지 가교 역할”
2015.06.10
차세대 원자로다. 소듐은 지구상에서 6번째로 풍부한 원소인 만큼 지속가능성
측면
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만하다. 박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SFR사업단장은 “물을 냉각제로 사용하는 현재의 원자력발전소에 비해 100배 이상 열 전달력이 좋으면서도 사용후핵연료의 방사성 독성 감소기간을 100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