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맑음
밝음
투명도
광휘
명료
명석
순수
뉴스
"
투명
"(으)로 총 1,642건 검색되었습니다.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반도체 도핑
2015.03.30
도핑할 수 있는 범위의 100배 정도에 맞먹는 면적이다. 2차원 나노반도체는 유연하고
투명
한 소재에 활용할 수 있어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온을 주입해 반도체 속 전자와 정공의 농도를 조절하는 기존 도핑기술로는 나노반도체의 결정성을 깨뜨릴 수 있어 이 기술을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음식의 모습이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예를 들어 체리향이 나는 무색
투명
한 음료를 만든 뒤 녹색 색소를 타면 많은 사람들이 라임향이 난다고 답한다. 반면 주황색 색소를 타면 오렌지향이 난다고 느낀다. 이런 지각 왜곡의 가장 고전적인 예가 2001년 발표된 와인실험이다. ... ...
소나무 재선충병 마지막 방제 현장에 가다
2015.03.27
“위잉~.” 전기톱 소리가 온 산을 울리자 바싹 마른 잣나무 한 그루가 쓰러졌다. 반
투명
한 노란색을 띤 애벌레들이 우수수 떨어져 나왔다. 재선충을 옮기는 애벌레다. 작업자들이 달려들어 조각난 나무를 1, 2㎥씩 차곡차곡 쌓은 뒤 노란 약제를 골고루 뿌렸다. 녹색 방수 비닐을 덮고 비닐 ... ...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3.26
이거 한 번 잘라봅시다”고 외쳤다. 작업자가 전기톱으로 나무를 잘랐다. 가르는 족족, 반
투명
한 노란색을 띤 애벌레가 우수수 떨어져 나왔다. “나무마다 많게는 수십 마리의 매개곤충이 나옵니다. 엄청난 양이죠. 꼼꼼하게 방제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번집니다. 뒤늦게 나타난 고사목도 3월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강해 ‘꿈의 신소재’라고도 불린다. 세계 각국 연구진은 그래핀을 이용해 휘어지는
투명
전극을 비롯해 다양한 재료를 개발 중이다. 김관표 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그래핀과 금 입자를 산성용액 안에 넣으면 그래핀의 원자구조 형태를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시안화금 나노와이어가 ... ...
해부학, 이제 스마트폰으로 공부하세요~
2015.03.22
등의 별빛까지 포착했다. 한편 적경과 적위로 표시한 천구상의 좌표 정보와 시상과
투명
도 등 하늘의 환경, 또 카메라와 노출 시간 등의 상세한 설명도 함께 실어 별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
건강을 위해 버려야 할 것, 모르면 손해…‘7가지 어떤 게 있을까’
동아닷컴
l
2015.03.20
오래된 플라스틱 용기다. 플라스틱 용기는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가 들어있다. 특히
투명
하고 단단한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의 플라스틱에는 환경호르몬이 들어있어 건강을 나쁘다. 두 번째는 방향제다. 방향제의 일부 제품에는 향기가 오래 머물도록 만드는 프탈레이트가 들어있다. ... ...
피부 욕창 찾아주는 ‘스마트밴드’ 나왔다
2015.03.19
‘네이처’ 자매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7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얇은
투명
필름 위에 전극과 회로기판을 직접 인쇄해 피부의 전기저항을 알 수 있는 반창고 형태의 측정장치를 만들었다. 사람의 피부는 미세한 전류가 잘 흐르지 않지만, 세포막이 파괴되면 체액이 흘러나와 전류가 ... ...
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
전이되는 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고분자 다공성 나노막인 ‘TNT 멤브레인’을 만들었다.
투명
성(Transparent), 나노 다공성(Nano-porous), 탈부착 용이성(Transferable)의 영문 앞글자를 딴 이름이다. 세포를 배양할 때 세포와 세포 사이에 놓이는 기존 막은 그 두께가 1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로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태양전지는 수직구조와 달리 태양빛과 광활성층을 직접 만나게 만들었기 때문에 전극을
투명
하게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인쇄하듯 유기물 용액을 이용해서 찍어내는 방식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조길원 교수팀의 연구 성과가 표지 논문으로 실린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