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스페셜
"
초
"(으)로 총 1,740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첫 인상이 중요하다
2018.10.27
빨리, 일관적으로 판단하느냐와 그 판단이 ‘정확’한 것인가는 별개라는 점이다. 0.1
초
만 봐도 첫인상을 형성하고 더 긴 시간 동안 봐도 첫인상은 별로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지 첫인상이라는 것이 정확하다는 발견은 아니다. 개인적으로는 0.1
초
만에 그 작은 정보들로 만들어지는 첫인상이라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길들인 여우 게놈 분석해보니…
2018.10.02
선별하지 않은 은여우 사이의 차이보다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예상한 결과로 애
초
에 은여우가 사나운 편인 데다가 길들인 은여우의 세대 수가 10년 더 많기 때문이다. 은여우 세 그룹 30마리의 게놈을 분석해 주요 특징을 추출한 뒤 2차원 좌표에 나타냈다. 각 그룹의 열 마리가 한 데 묶임을 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몸무게가 3g에 불과한 지네가 45g인 생쥐를 공격하는 장면이다. 지네에 물린 생쥐는 30
초
만에 제압됐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지난 2월 학술지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지네의 독액에서 덩치 큰 동물을 쓰러뜨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성분과 그 표적인 생체분자를 규명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왜 남이 하는 건 항상 쉬워 보일까?
2018.09.01
내가 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내 삶에서 가장 어려웠던 일을 꼽아본다면 그 중 ‘
초
등학교 입학’이 있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해내는 일이지만 나에게는 큰 변화였고 두려운 시간들이었다. 타인에게 네가 하는 것이 참 쉬워 보인다고 얘기하는 것이 실례인 것처럼 나에게도 이렇게 쉬운 걸 못하냐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전부 고려한다면 비싼 것도 아니다.” 지난주 경기도는 이달 말이나 늦어도 내달
초
에 도내 ‘가축행복농장’ 40곳을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제도가 안착되면 2022년까지 4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가축행복농장으로 인증받으려면 마리당 소는 10㎡, 돼지는 0.8㎡, 닭은 0.075㎡ 이상의 사육면적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레시피를 추측하고 맛을 평가한다. 또 ‘집밥 백선생’이라는 프로그램에서는 요리
초
보인 연예인들에게 요리하는 즐거움을 알게 해준다. 어떤 사람들은 오늘날 미식 열풍을 일종의 ‘퇴행’으로 진단하기도 하지만 이는 우리가 한동안 잊어버리고 있었던 ‘잡식동물이라는 생물학적 사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의 XMM-뉴턴 X선 우주망원경으로 도마뱀자리 BL천체 1ES 1553+113를 장기간(총 관측시간 175만
초
(약 20일)) 관측해 얻은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1ES 1553+113는 X선을 가장 많이 방출하는 퀘이사로 최소한 72억 광년 떨어져 있다. 그 결과 퀘이사에서 나온 빛이 두 차례에 걸쳐 뜨거운 WHIM을 지날 때 산소 이온(O+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느껴’ 물건을 집은 손가락을 얼른 뗀다. 이 반사행동에 걸리는 시간은 불과 120밀리
초
로 진짜 손가락으로 무심코 끝이 날카로운 물건을 집었을 때 손가락을 떼는데 걸리는 시간과 차이가 없었다. 동영상으로 이 장면을 보면 실감이 난다. 해당 동영상에서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을 때 아픔을 느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조건화된 공포로 몸이 얼어붙으면 호흡이 느려지며 4헤르츠 부근에서 안정화된다. 1
초
에 네 번 숨을 쉬면 꽤 빠른 호흡 같지만 생쥐의 호흡 속도는 2~12헤르츠로 사람의 0.1~0.3헤르츠보다 열 배는 빠르다. 대사율이 높기 때문이다. 호흡이 4헤르츠를 유지하자 후각망울의 신경활동도 4헤르츠의 주기를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이 발생함을 증명했다. 호킹은 이를 우주의 팽창에 적용했다. 우주가 팽창하기 전
초
기에도 밀도가 무한이었던 특이점, 즉 빅뱅 시점이 반드시 있어야함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이후 5년 동안, 로저 펜로즈, 보브 게로치, 그리고 나는 일반상대성이론 내 인과구조에 관한 이론을 개발했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