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도
분리도
감성
민감도
d라이브러리
"
감도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종 인삼과 가짜 구별하는 전자코
과학동아
l
200010
사람은 충분히 알아차릴 수 있는 농도인데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도 많다. 그나마 센서의
감도
도 대체로 1ppm(1백만분의 1) 내외로 후각에 비교가 되지 않는다.또 수많은 냄새분자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수를 늘릴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센서 중 실제 응용할 만한 것은 수십종에 지나지 ... ...
허블 우주망원경 혜성핵 붕괴현상 포착
과학동아
l
200009
가장 밝은 조각은 다른 조그만 조각들의 모핵(母核)으로 보였다. 허블의 뛰어난 분해능과
감도
때문에 붕괴되는 핵에서 혜성핵이 분열되는 현장이 자세하게 포착됐다. 리니어 혜성의 핵은 다른 혜성에 비해 부서지기 쉬운 물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핼리 혜성과 같은 일반적인 혜썽은 태양에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08
전파를 수신할 수 없는 이유다. 금속재질로 이뤄진 엘리베이터에서 핸드폰 수신
감도
가 떨어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보통 터널에 들어갔을 때 라디오가 지지직거리며 잘 안 들리는 것은 전파가 터널을 통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터널에 의해 전자기파가 흡수되기는 마찬가지다. 하지만 근래에는 ... ...
Ⅳ. 우주의 시작과 끝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0008
진다. 예를 들어 MAP은 우주론적 상수, 암흑 물질의 특성 등을 결정 해줄수 있을 정도의
감도
를 가진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함으로써 이런 인자를보다 정확히 정해줄 수 있게 된다.플랑크(Planck)는 유럽 우주기구의 '호라이즌2000 프로그램'중 일부 로 수행되는 것으로 2007년 발사를 목표로하고 있는 또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02
연결돼야 한다.한 짝에 2천4백만원이나 하는 장갑의 손가락 끝부분은 장비를 조작할 때의
감도
를 높이기 위해 실리콘고무로 만들어진다. 압력밀봉장치가 장갑과 몸체우주복의 연결부위에 장착돼 있다. 발사시에 끼는 검은 고무로 된 압력장갑 위에 작업용 장갑을 덧끼고 사용한다.우주복 무게 4 ... ...
사자자리 유성우 관측가이드
과학동아
l
199911
사자자리나 사자자리보다 약간 위쪽으로 향하는 것이 좋다.노출 시간은 사용하는 필름의
감도
와 촬영 장소의 광공해 정도에 따라 다르다. ISO800의 필름으로 F2.8의 경우, 도시지역에서 1분, 교외에서 2-4분, 산 속의 어두운 하늘에서는 5-10분 정도이다. 슬라이드 필름은 노출 관용도의 폭이 좁기 때문에,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09
장치대가 있는 것릴리스 : 카메라에 흔들림 없이 셔터를 눌러준다필름 : ASA4000 이상의 고
감도
필름카메라 조정대 : 사진 촬영 영역을 다양한 각도로 잡을 수 있게 해 준다.■방법1. 별지도에서 찍고자 하는 소행성의 위치를 확인한다.2. 별자리를 보면서 소행성이 있는 위치를 중심으로 카메라의 ... ...
투우사의 빨간 망토는 속임수
과학동아
l
199908
빛이 센 낮에는 도리어 장님이 된다. 이들 동물들의 눈은 가능한 한 빛을 많이 모아서
감도
가 가장 높은 망막 위에 초점이 맺히도록 돼 있다. 올빼미는 사람과 비교해서 1백분의 1 정도의 빛만 있어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05
영국행 비행기를 탑승했을 때 우리들은 위성이 뭔지도 몰랐고, 가서 무엇을 배워야 할지
감도
잡지 못했다.” 꿈나무로 선발됐던 박성동씨(현 인공위성연구센터 연구기획실장)는 위성개발에 대해 전혀 몰라 참담했던 당시를 회고하면서, “10년 뒤 우리 후배들에게는 이런 비참함을 물려주지 ... ...
순간의 역사를 담은 창 필름
과학동아
l
199904
흑백 필름이 가장 넓고, 컬러 네거티브, 컬러 포지티브 순으로 줄어든다. 또 고
감도
가 저
감도
보다 관용도가 적다.1888년 최초의 두루마리 필름 제작 - 합금판·종이·유리 필름 단계 거쳐최초의 필름을 만들어 사진을 찍은 사람은 19세기 초 프랑스 아마추어 화학자 니에프스다. 주석과 납의 합금판 위에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