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1,807건 검색되었습니다.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12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산발적인 알고리듬으로부터
고도
의 지능이 창발한다는 어느 SF영화의 소재가 더 이상 상상 속 이야기만은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드는 이유다.이해하지 못하는 알고리듬에 의해 움직이는 세상에서 윤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전혀 ... ...
[과학뉴스] 민간우주선 ‘스페이스십2’ 시험 비행 중 폭발
과학동아
l
201412
입었다. CNN에 따르면, 미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항공우주기지에서 발사된 스페이스십2는
고도
약 13.7km에서 모선과 분리한 직후 폭발했다.정확한 사고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지상실험을 거쳐 최초로 시험비행에 사용된 새로운 연료에 문제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래 고체 ... ...
[과학뉴스] ‘다단계 점프’로 화성에 간 인도
과학동아
l
201411
벗어난 방법을 높게 산 것이다. 실제로 망갈리안은 발사 후 11일 동안 총 6차례에 거쳐
고도
를 최대 19만2874km까지 높였다. 12월 4일 지구 중력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났고 12월 11일 첫 궤도 수정을 했다. 비록 복잡하고 지루하며 메이븐에 비해 폼도 나지 않는 길이었지만 망갈리안에게는 최선의 ... ...
[과학뉴스] 식물인간도 영화 볼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10
영화를 보여주면서 fMRI로 뇌활성을 관찰했다. 분석 결과, 건강한 지원자들은 공통적으로
고도
의 인지능력을 담당하는 ‘실행영역’과 시각정보와 청각정보를 처리하는 ‘감각영역’이 활성화됐다. 그런데 놀랍게도, 16년간 식물인간 상태로 있던 34세의 남성 환자 한 명의 뇌에서 실행영역과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0
최근에는 로봇이 스스로 판단해 화기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을 만큼 인공지능이
고도
화됐기 때문이다. 영국 BBC 방송이 5월 21일에 보도한 바에 따르면, 많은 군사전문가들은 영국의 퀴네티크(QinetiQ) 북미지사가 내놓은 ‘마르스(MAARS)’ 전투로봇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인간병사를 엄호하는 이 ... ...
풍선처럼 둥둥 떠서 전기 만드는 풍력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9
하늘에 떠 있을 전망이에요. 미국 에너지 기업인 알테이로스 에너지스 전문가들은
고도
가 높을수록 바람이 더 강하게 분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하늘에 띄우는 풍력발전기 ‘배트(BAT)’를 개발했어요. 배트는 풍선처럼 생긴 몸통에 헬륨가스를 가득 채워 하늘에 띄운 다음, 땅에 세운 풍력발전기와 ...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
과학동아
l
201409
가격경쟁력을 높였다. 버진 갤럭틱의 준궤도 우주선은 지구와 우주의 경계선인
고도
100km까지만 올라간다. 그곳에서도 충분히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과 별이 반짝이는 새까만 우주를 볼 수 있으며, 무중력을 경험할 수 있다. 대기권 끝까지만 여행하기 때문에 지구 탈출속도를 넘기 위한 추력도 필요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09
증가했다. 짙은 대기 속으로 들어가면서 공기저항때문에 속도가 다시 줄었다.
고도
33km에서는 6G에 달하는 중력이 발생했다. 하강 시에는 중력가속도가 누워있는 자세에서 가슴을 누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나는 훈련 때 배운 대로 배를 압박하는 호흡과 다리 근육을 긴장시키는 자세로 무사히 견딜 ... ...
INTRO. 우주관광 올해 처음 떠난다
과학동아
l
201409
하이브리드 로켓 엔진을 점화해 8초간 가속(최고속도 마하 3.5)한 뒤, 관성비행으로 최고
고도
110km까지 오른다. 링스처럼 5분 간 자유낙하하며 창 밖을 볼 수 있다. 로켓플레인보다 크게 만들 수 있어서 스페이스십2에는 조종사 2명과 여행객 6명이 탈 수 있다. 대신 전체 시스템이 복잡해 가격이 더 ... ...
뭉치면 강하다 군집로봇
과학동아
l
201408
‘태권브이’는 1976년 개봉 이후 인류구원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로봇공학이
고도
로 발달하면서 태권브이처럼 강한 로봇에 대한 기대감도 커졌다. 그리고 2014년. 세월호 참사 등 여러 재난현장에 등장한 로봇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대중의 기대는 무참히 깨졌다. 이제 로봇공학자들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