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6,345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 ...
-
- 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의 듀엣 타임!수학동아 l201706
- 독일에 브레멘 음악대가 있다면 여기엔 수학과 음악의 듀엣 음악대가 있습니다.달라도 너무 달라 보이는 수학과 음악이 부르는 듀엣곡을 들어봅시다. 음악이 수학을 만들고 수학이 음악을 만드는 닭과 달걀 같은 이야기가 시작됩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딴따라 수학과 똑똑이 음악 ... ...
-
- Part 1. 음악, 수학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06
- 음악을 수학적으로 분석한다는 얘기는 들었어도 음악의 영향을 받아 수학 이론을 만들었단 얘기는 못 들어봤을 겁니다. 음악이 너무 좋아 연구에도 적용한 수학자와 과학자를 만나보세요! 움빠룸빠 둠 두비두바 둠멈추지 않아 춤을 춘다, 다시♬ 다시♬아이유의 3집 타이틀곡 ‘분홍신’을 들어 ... ...
-
- [과학뉴스] 비밀 임무 수행하고 2년 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X-37B과학동아 l201706
- 미국 공군이 운용 중인 무인 우주비행선 X-37B가 718일간의 우주비행을 마치고 5월 7일 미국 플로리다 주의 케네디우주센터로 귀환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한 우주왕복선을 연상케 하는 이 우주비행선은 길이 8.8m, 무게 5t으로 우주왕복선의 4분의 1 정도 크기다. 비행 궤도와 고도를 자유 ...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06
- 과학계에도 ‘꽃길’이 있을까.새로운 것을 밝혀내기 위한 끝없는 여정을 이어가는 과학자들. 그들은 언제나 자신이 걷는 가시밭길 위에서 분투한다. 면역학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로 201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브루스 보이틀러 미국 텍사스대 교수(왼쪽, 사우스웨스턴의학센터 숙주방어유전 ... ...
-
- [Issue] 전세계 과학자들이 거리로 나선 이유 “과학, 이제 침묵하지 않겠다”과학동아 l201706
- 과학행진은 과실연(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 ESC(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가 공동주최하고 브릭, 동아사이언스, 대덕넷 등이 후원했다 ... ...
-
- [Career] 학습과 진로탐색 두 마리 토끼 잡는다, 미래인재캠프과학동아 l201706
- 최근 ‘공부하는 해외여행’이 주목받고 있다. 해외여행이 보편화되면서 단순히 보고, 먹고, 쉬다가 오는 것보다, 자연과 문명, 미래에 대한 통찰력을 얻으려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다.박문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책임연구원이 이끄는 ‘박자세(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가 대표적이다. 2007 ... ...
-
- Part 1. 문명이 낳고 과학이 키우다과학동아 l201706
- 식문화는 대륙마다, 나라마다 다르다. 예로부터 빵은 주로 서양에서 주식으로 먹었다. 하지만 지금은 세계가 글로벌화되면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밥 대신 빵을 먹는다. 인류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했을까. 빵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탄생했을까. 어디로부터 어디로 전 ...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있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JumpRoACH)’가 있어요! 서울대학교 조규진 교수님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광필 교수님이 함께 만들었지요. 인터뷰 정광필 교수 “저는 고무 재료를 사용해 점프하는 바퀴벌레 로봇, 점프로치를 만들었어요. 고무는 금속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에너지를 더 많이 ...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만들거나, 전기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어요.광주과학기술원 이종호 교수팀이 개발한 1μm(백만 분의 1미터)의 아주 얇은 태양전지(위 사진)가 대표적인 예지요. 이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13%로, 두꺼운 태양전지와 거의 비슷하면서도 연필에 돌돌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