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편각
d라이브러리
"
독립변수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05
범죄수사의 '감초'라 일컬어지는 국립과학수사연구소는 일선수사관의 활동을 가능케하는 수사의 핵심부다.살인 강도 강간 유괴 사기…. 하루가 멀다하고 우리를 놀라게 하는 강력사건이 터지고 범인은 체포된다. 고전적인 '육감수사'로는 미궁에 빠질지도 모르는 이들 사건의 해결 뒤에는 현대수 ... ...
「신의 주사위 놀이」는 거부되는가?
과학동아
l
199011
자연세계의 객관성을 굳게 신봉하는 아인슈타인과 인식 주체를 중시하고 통계적 해석을 내리는 양자역학의 신봉자들 사이에는 끊임없는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이는 아인슈타인(A. Einstein) 이 보어(N. Bohr)를 중심으로 한 코펜하겐(Copenhagen) 학파의 확률론적인 양자 ... ...
연결주의의 재등장
과학동아
l
199004
87년 미국의 몇몇 기업들이 PC용 뉴로컴퓨터를 상품화함으로써 다시 주목받기 시작한 신경회로망이론, 그 이론적 개요와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본다.지난호에서 지적한대로 인공지능의 연구는 인간의 정보처리 양식의 실체와 관계없이 공학적으로 지능의 유형을 컴퓨터로 만들어 인간의 정보처리 ... ...
누가 슈퍼컴퓨터를 지배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08
세계 최고속 컴퓨터의 소유자는 누구인가. 국방과학의 보루 미국 슈퍼컴산업에 반도체기술을 바탕으로 도전하는 일본의 추격은 과연 미국을 앞지를 것인가.슈퍼컴퓨터의 성능이 단숨에 10기가플롭스(GFLOPS)의 벽을 넘어 20기가 플롭스시대로 돌입했다. 내년중에는 일부 기종의 출하가 시작된다.일본 ... ...
PARTⅡ 사례로 본 4차원
과학동아
l
198904
공간에 시간축이 개입함으로써 발생되는 기상천외의 해프닝들. 물리학은 이것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을까?우리는 여기서 4차원의 세계가 현실에 있는가 없는가 하는 기본적인 문제를 생각해보자. 만약 4차원세계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어떤 것이며 어디서 볼 수 있을까? 그것은 서울시의 한복판에 ... ...
확률론과 결정론을 합친다 수학의 새 지평「프랙탈이론」
과학동아
l
198904
때문이다. 수학에서의 차원은 공간이나 구조의 임의의 한 점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독립변수
, 즉 '공간의 자유도'라는 뜻이다. 이 개념으로 1차원은 선, 2차원은 면, 3차원은 입방체임을 곧 알 수 있다.이를 일반화하기 위해 아래 그림과 같이 1차 2차 3차의 대표적인 도형, 즉 선분 정사각형 정육면체를 ... ...
솔라셀(태양전지) 어떻게 이용되나
과학동아
l
198805
인류가 최초로 불을 발견한 이후 '제2의 불'(전기)은 비약적인 산업발달을 가져왔으며 근대화의 길을 활짝 열었다. 인체에 있어서 혈액과 같은 에너지자원의 활용은 현대의 고도화된 과학기술문명을 낳은 원동력이 되었고 시간이 흐를수록 그 비중은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화석 ... ...
함수의 활용
과학동아
l
198801
C 언어에서도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함수(function)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함수를 만들어서 프로그램 내에서 이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c언어는 모든 모듈이 함수 그 자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소 혼동이 올 수 있으나 리턴(return)되는 값의 유무에 따라 이를 구분할 수 있을 것이 ... ...
지리도형정보관리시스템 컴퓨터에 의한 국토관리
과학동아
l
198611
컴퓨터가 숫자나 문자만을 다루던 시대는 지났다. 고도산업사회에서 점점 복잡해져 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상 지하의 시설물들, 이들 도형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최근 컴퓨터분야에 있어서 선진국들의 관심은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AI)을 근간으로 전문가시스템(Expert ... ...
실전을 통해 익힌다
과학동아
l
198608
컴퓨터가 단순히 지시하는 일만을 기계적으로 처리하지 않고 새로운 것을 배우고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을 때 비로소 컴퓨터는 지능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배운다는 말을 여러 의미로 사용한다. 영어 수학을 배운다고 하며, 자전거 타는 법, 피아노 치는 법 등을 배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