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속
부언
여록
뜬소문
낭설
뜬소리
부언낭설
d라이브러리
"
부설
"(으)로 총 224건 검색되었습니다.
5. 운동이 당신의 몸을 망가뜨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06
처음 문을 연 코오롱스포렉스를 필두로 서울종합병원 거평메디스클럽 단국대 천안병원
부설
운동의학센터 등이 운동처방전문기관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달리기 처럼 몸의 하중을 다리에 가하는 운동 뿐만 아니라 수영 사이클 등과 같이 직접 다리에 충격을 주지 않는 방법을 통해서도 다리 근육을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05
없으면 안될 사람들이었다. 현대조선소와 같은 곳에서는 용접공이 당장 필요해 사내
부설
훈련소를 만들어 여기에서 단기훈련을 시켰다. 아직은 고급기능이 필요없던 초창기라 그런 임시방편이 통했지만, 조금만 더 산업이 발전하면 엄청나게 많은 기능인력이 필요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05
다음, 졸업과 동시에 민항공 조종사로 근무할 수 있도록 했다.현재 한국항공대학은 교내
부설
비행교육원을 활성화해 조종사 수급 문제를 해결하고, 대학을 발전시키기 위해 계기사업용 조종사 과정을 확대할 계획을 추진중에 있어 멀지 않은 장래에 지금보다 더 많은 한국항공대학 졸업생들이 대학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05
대폭 증가했다. KIST나 기계연구소 등 일부 연구소에 국한됐던 로봇연구가 대학
부설
연구소(서울대 자동화시스템연구소, 포항공대 산업과학기술연구소 등)와 민간기업연구소로 확산돼 많은 기술축적이 이루어졌다. 특히 이들 연구소에서는 단순한 산업용로봇 연구에서 벗어나 제2세대로 비약을 ... ...
(3) 정보 교환과 그룹지도 활발
과학동아
l
199204
위치한 이지멀티 미디어아카데미(Easy Multimedia Acadamy)는 이지멀티미디어에서 운영하는
부설
학원으로 20대 가량의 매킨토시컴퓨터를 갖추고 있으며 초보자부터 전문가 음악교육관계자와 실제 사용자 아마추어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한다. 처음 2주간 무료교육 과정 후 자질에 따라 교육방법을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04
건물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소프트웨어개발의 총본산을 자처하고 있는 KIST
부설
시스템공학연구소다.이 연구소와 관련해서 기억에 남는 이가 한 사람있다. 바로 성기수 박사다.KIST가 설립되면서 컴퓨터 이용을 어떻게 하느냐 하는 것은 항상 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1960년대 중반만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12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수중관광에도 이용우리나라에서는 1986년 한국기계연구소
부설
해사기술연구소가 2백50m급 3인승 유인잠수정 '해양250'호를 개발해 연근해 해저 환경조사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 잠수정은 현재 해양연구소의 인도돼 대륙붕의 해저생태계조사와 침몰된 유조선의 상태조사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급수로 15~20일동안 물을 주지 않아도 되는 화분이 상품화돼 화제가 되고 있다.'급수통이
부설
된 이중화분'이 바로 그것이다. 발명가는 엉뚱하게도 바이올린 부품제 조업을 하는 박사홍씨다.박씨는 국가의 경축행사 때마다 도로변에 진열하는 화분의 꽃들이 물주는 시간을 놓쳐 시드는 것을 보고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11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우리나라에 처음 철도가
부설
된 것은 1899년. 그로부터 1백년만에 대역사(大役事)경부고속전철사업이 시작되려는 시점이다. 지난 8월말 정부는 독일 일본 프랑스 3국에 경부고속전철의 입찰제의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를 발송했고, 이에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10
운영을 맞게 될 것이 자명하다는 얘기다. 현재 천문우주과학연구소는 전자통신연구소의
부설
연구소로 등록돼 있지만 실질적 운영을 거의 독자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이번의 흡수통합은 천문학연구자들에게는 '마른하늘에 날벼락'임에 분명하다."이번 흡수통합의 이유중 가장 결정적인 것은 우리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