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산봉우리
극한
정점
클라이맥스
산머리
산정
d라이브러리
"
산꼭대기
"(으)로 총 177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09
그가 산 아래 마을에서 싸움을 했고 그 와중에 상처를 입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급하게
산꼭대기
로 도망친 이유도 그 때문이라는 것이다.바필드 박사는 이 견해에 동의하지 않고 좀 더 경제적인 요인으로 설명이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는 '얼음 인간'이 양떼를 몰고 산에 올라왔다가 사고를 ... ...
달도시, 21세기 세워진다
과학동아
l
199409
아니라 아주 넓은 평원을 의미하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형이 험한 산악지대가 있다.
산꼭대기
나 크레이터벽의 험준한 지형은 달에서는 침식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단적으로 증명해준다. 대기가 없어 기상현상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그러나 달표면은 먼지와 같은 잘게 부서진 ... ...
지구과학 - '뉴턴사과' 지구중심낙하 정설 아니다
과학동아
l
199405
충분히 빠른 속도로 사과를 던지면 사과는 지표의 곡률과 일치해 떨어지지 않고 본래의
산꼭대기
로 다시 돌아가서 언제까지고 지구 주위를 회전할 것임에 틀림없다.달이나 인간이 쏘아 올린 인공위성은 지구의 중력장 아래에서 이와 같이 적당한 속도로 던져진(?) 것이어서 지구 주위를 회전하는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04
사람들은 옛날부터 지구에 대해 많은 의문을 갖고 탐구해 왔다. 그 결과 우리는 지구에 관한 많은 지식을 얻게 됐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어떤 모습이며 그 크기와 모양이 알려진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지구는 우리 인간이 탄생해 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백만 종 이상의 생명체가 태양계 내의 ... ...
물리- 빛은 공간 자체가 매질이다
과학동아
l
199402
빛의 매질을 에테르로 가정하고 에테르에 대한 지구의 절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 시행됐으나 결과는 불가능이었다. 결국 빛은 매질이 필요없고 빛의 속도는 누구에게나 똑같다는 결론이 내려졌다.빛의 속도를 최초로 재려고 시도한 사람은 뉴턴이었다. 그는 달도 없는 깜깜한 밤에 멀리 떨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11
신혼부부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새신랑은
산꼭대기
에는 있는 사무실에 출근한다.
산꼭대기
남편사무실의 시계는 산밑 아래 시계보다 훨씬 빨리 갈 것이다. 하루하루 남편은 아내보다 빨리 늙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산밑 강한 중력장속에 있는 아내의시계는 훨씬 늦게 간다. 따라서아내는 계속 ... ...
지구과학- 지층과 화석, 지구의 현재와 미래까지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10
알 수 있는 지구의 역사를 간단한 예를 들어 알아보기로 하자. 어느 지역의 해발 3천m
산꼭대기
에서 1천5백만년 전 바다에 살던 생물의 화석이 발견됐다고 하자. 이 사실로부터 우리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지역은 1천5백만년 전의 화석이 발견된다는 것에서 이 시기에는 바다밑에서 퇴적이 ... ...
화산·얼음·물
과학동아
l
199308
최근까지 지구상에서 적어도 12번 이상 분출한 활화산의 수는 5백50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행객들이 폼페이 화산이나 폭발한 적이 있는 세인트헬레네 산의 분출구로 몰려 다니고 있지만 사실 화산은 매우 위험한 존재다. 화산은 사람과 가축을 죽이며, 우리를 살고 있는 곳에서 몰아내기 ... ...
지구과학- 1회 방전량은 중규모 발전소의 발전량에 해당
과학동아
l
199308
진행되는 보통의 벼락에서는 아래를 향해 가지가 갈라진다. 높은 탑의 꼭대기나
산꼭대기
로부터 절연이 파괴되기 시작하고 구름을 향해 진행될 때에는 같은 벼락이라도 번개는 위를 향해 가지가 갈라진다.지구 전체로는 항상 수 백개 정도의 번개가 발생해 직류 발전기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기는 ... ...
물리- 왜 비행기에서는 안 생기고 우주선에서는 생기나
과학동아
l
199306
중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중력이 없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무중력 상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무중력 상태를 경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무중력 상태란 중력이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알기가 쉽다. 무중력상태의 '무'자가 없을 무(無)자이기 때문에 무중력상태는 중력이 없는 상태를 나타낸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