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색"(으)로 총 2,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10
- 줄었습니다.일반적인 우유의 pH는 6.5~6.7입니다. 더구나 영화에서 보여준 우유갑은 붉은 색이었습니다. 딸기 우유였을 가능성도 있죠. 딸기의 pH는 3.1이기 때문에 딸기 우유의 pH는 일반 우유보다 더 낮습니다. 유코의 복수가 성공할 확률도 그만큼 더 낮아졌을 겁니다 ... ...
- [소프트웨어] 레고를 빌려드립니다! 레츠고수학동아 l201610
- 분류한다. 컨베이어 벨트 위에 블록을 쏟아 부으면,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가 블록의 색과 크기, 무게등을 읽고 분류한다. 컨베이어 벨트와 연결된 기계는 소프트웨어가 알려준 대로 같은 블록끼리 한 바구니 안에 모아준다.권 대표는 올해 안에 엑스라지 크기의 상자에 든 블록 전체를 15분 안에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색소가 적다. 또 백색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홍채가 빨간색으로 보이는데, 멜라닌세포에 색소가 없어 망막이나 혈관이 그대로 비쳐 보인다.근육의 독특한 주름 무늬게다가 홍채는 고유한 주름무늬를 가지고 있다(54쪽 그림). 홍채의 표면을 보면 동공과 홍채가 만나는 경계(소홍채륜)에 주름이 진다. ... ...
- [숲 이야기] 봄이 오면 사방이 알록달록 진달래 가족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참꽃나무는 제주도 한라산에서만 자라는 진달래류예요. 아름다운 꽃 모양과 화려한 색상으로 제주도를 상징하는 꽃이지요. 제주어로는 ‘박달레낭’이라고 부른답니다.그 외의 진달래류는 주로 산에서 자라며 초여름에 꽃을 피워요. 중부 지역의 산지에서는 꼬리진달래를, 남부 지역 높은 산의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있는 이 순간에도 여러분의 뇌는 바삐 움직이고 있을 거예요.그리고 한 가지 더! 예쁘게 색칠해서 과학동아 e메일(ds@dongascience.com)이나 카카오톡으로 보내주시면 ‘노오력’이 돋보이는 세 분께는 재미난 과학 도서를 선물로 드린답니다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초록, 보라, 갈색 5가지 색 중 한 가지를 나타낸답니다. 이 학생들이 쓴 바이오브릭은 색깔 단백질을 만들 수 있는 것이었어요.연구팀은 이 크로미로 재미있는 상상을 해 그걸로 예술 작품으로 만들기도 했답니다.합성생물연구, 필요하다 VS 위험하다합성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는 만큼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09
- 대체로 색을 넣은 쪽에 향이있다고 평가한다. 입에 넣고 향을 평가하게 하면 반대로 색이 없는 쪽이 향이 강하다고 느낀다. 우리의 감각기관이 얼마나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지 말해주는 예다.냄새초콜릿 맛의 정체는 향!초콜릿 맛 성분이란 없다. 그런 맛을 느끼게 하는 향이 있을 뿐이다. 입 뒤에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09
- 높았던 곳이다. 광물은 화학적 성분 구성이 같더라도, 지질 환경의 미묘한 차이로 색상이나 모양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에 큰 차이가 난다. 특히 비스비 공작석은 더 이상 산출되지 않기 때문에 어쩌다 수집 시장에 나타나는 경우 박물관과 수집가들이 대거 몰려든다. 이른바 ‘명품’인 셈이다.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08
- 색을 배운 그들이 알고 있는 색의 개수는 훨씬 적을지라도, 사물이 가지고 있는 정확한 색을 인지하고 있는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더위 날리는 '움직이는 색' 파랑PART 1. 파랑은 없다?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PART 2. 파랑을 만드는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08
- 단풍을 보고 떠올린 연구주제는 노화였다. 가을이 오면 단풍잎은 아름다운 가을색을 띄게 되는데 이는 잎에서 분해된 영양분을 줄기나 뿌리로 보내어 저장하는 이미 예정됐던 노화프로그램의 결과이다. 즉, 잘 늙음으로써 충분히 저장한 영양분을 이듬해 새 잎을 만드는데 활용하는 것이다. 그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