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땜질
단접
땜
접합
결합
d라이브러리
"
용접
"(으)로 총 186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07
가스절연개폐장치), 해사기술연구소에 들어온 록신(파톤
용접
연구소, 전기빔
용접
) 등도 러시아에서는 지명도가 높은 중견 과학기술자들이다. 선임연구원급 대우대학에는 전기를 통하는 플라스틱 분야의 권위자인 오프치니코프(화학물리연구소)가 지난 3월부터 서울대 물리학과 연구원으로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05
되어 일을 수행할 기능사 역시 없으면 안될 사람들이었다. 현대조선소와 같은 곳에서는
용접
공이 당장 필요해 사내 부설훈련소를 만들어 여기에서 단기훈련을 시켰다. 아직은 고급기능이 필요없던 초창기라 그런 임시방편이 통했지만, 조금만 더 산업이 발전하면 엄청나게 많은 기능인력이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05
전자와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대량의 산업용로봇이 현장에 배치됐다. 초기에는
용접
이나 운반 등 단순작업에 주로 쓰였으나 로봇의 기능이 발달함에 따라 조립이나 도장 등에도 활용되기 시작했다. 이를 통틀어 1세대 산업용 로봇이라고 부른다.우리나라의 산업용 로봇 제작기술은 어느 수준인가 ... ...
곤충서 힌트 얻은 여섯발 로봇
과학동아
l
199204
일을 하면서도 어느 정도 잘 되었는지 감시하는 것도 필요했다.예를 들어 가스통을
용접
하기 위해서는 작업 중간 과정마다 코를 킁킁거리면서 가스가 새는지를 체크해 보는 로봇이 필요했다. 좀더 효율적으로 로봇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CIM(Computer-lntegrated Manufacturing)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02
등장하면 TV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하다가 자동차를 만드는 공장에서 일할 수 있는, 또
용접
을 하다가도 조립도 할 수 있는 범용로봇이 탄생하는 셈이다.지능로봇은 인공지능(AI)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2010년 정도면 실용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분야는 미국이 전통적으로 앞서 ... ...
심해 잠수정의 세계
과학동아
l
199112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신소재 티탄합금, 이를
용접
하기 위한 전자빔
용접
법과 3차원기계가공기, 큰 수압에 견디는 부력재, 저소음 수중기기 및 수중음향측심기 등을 모두 개발해 자국의 잠수정 신카이6500호에 사용함으로써 선진해양국가와의 기술격차를 좁히고 선진해양국으로 발돋움했다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12
그러나 고장력 강판이 만능일 수는 없다. 즉 장력이 커지면 자유롭게 가공하기 어렵고
용접
성도 떨어지는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이런 양면성은 늘 존재하는데 어느 때고 완전히 제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최선의 접점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자동차의 부위별 부품별로 합금의 조합이 달라지는 것도 ... ...
특집2 기억력 갖거나 수소 먹고 사는 특수기능 지닌 마법의 금속들
과학동아
l
199112
염료저장탱크 등에 쓰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가공성이 나쁘고 열에 매우 취약해
용접
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급선무다.아모르퍼스의 특수한 성질을 가장 먼저 알아채고 이용한 분야는 자기적 성질이 뛰어나야 하는 오디오 비디오의 헤드(head). 아모르퍼스금속을 써서 헤드를 만들면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11
기술이 일정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차체
용접
기술이라든가 대차 설계기술, 제동장치의 컴프레서 부분은 우리 능력이 뒤쳐지고 카티너리나 인버터 컨버터 등은 조금만 도움을 받는다면 국산화에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특히 전기통신관련 ... ...
2. 신소재와 정밀설계기술 총동원
과학동아
l
199109
볼트를 사용해야 하므로 그 두께가 제한을 받게 되며 현재의 기술로 20cm 이상의 두께는
용접
이 힘들다.그러나 다행히도 고강도 경량 건설재료의 연구가 지난 20여년간 활발히 진행되어 강철의 경우 일반강철의 항복(隆伏)강도 2천4백kg/㎠가 1만kg/㎠로 4배 가까이 증가되었으며 콘크리트의 강도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