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4,1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8월 12일까지 세 번에 걸쳐 백두산에서 채취한 암석 샘플 약 300kg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자리였다. 화려한 조명과 음식이 준비된 ‘파티’는 아니었지만, 흥분된 분위기만큼은 여느 파티 못지않게 후끈했다. 그 현장을 과학동아가 단독으로 취재했다.화산 폭발 비밀 담은 ‘블랙박스’“자, 박스에 ... ...
- [Knowledge] 우주에는 정말 중심이 없을까과학동아 l201612
- 뜻이다. 처음 우주 등방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건 1920년대 즈음이다. 현대의 우주론이 자리를 잡아가던 시기다. 시작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었다.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으로 시간과 공간 격자가 변하지 않는다는 상식을 깼고, 일반상대성이론으로 질량이 있는 곳에서는 공간도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12
-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생명력으로 넘쳐났다.그릇이 없으면 물은 어디에 담길까. 담길 자리가 없으면 마음은 어디로 갈까.물, 계곡, 실개울, 도랑, 낙수, 빗방울, 이파리에서 떨어지는 이슬, 생각의 강이 사람의 계곡을 따라 흘렀다. 바위를 휘감고 자갈을 타넘고, 물거품을 일으키며 떨어지고 ... ...
- Intro. 우주 돛단배의 항성여행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호킹, 페이스북 대표 마크 주커버그, 사업가 유리 밀너 등 세계적인 인물 세 사람이 한자리에 모였어요. 이 셋은 지금과는 다른 새로운 모양의 우주선으로 태양계를 벗어나 먼 우주를 탐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지요. 연처럼 생긴 이 우주선으로 말이에요! 이런 일이 가능할까요? 지금부터 함께 만나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12
- 계산기를 만들었어요. 톱니바퀴 8개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형태로, 톱니바퀴 각각은 각 자리의 수를 계산했어요.하지만 이들 계산기 모두는 삼각함수나 로그함수와 같은 계산은 할 수가 없어 천문학자나 수학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했어요. 또 구조가 복잡하고 고장이 잦았어요. 그러던 1822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12
- 땅을 하사했는데, 조선의 산세와 지세를 훤히 꿰뚫고 있던 두사충이 처음 정한 명당자리가 지금의 경상감영공원입니다. 아래 글과 현장에 있는 QR코드의 조건을 참고해 ‘대구의 맥이 마지막으로 멈춘 곳에서 경상감영공원까지’의 거리를 현대의 단위로 구해보세요.열한 번째 미션, 화교소학교 속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12
- 56547). 당시 유럽의 과학 문화는 후원자가 중요했다. 이들의 지원이 있어야 대학에서 좋은 자리를 얻고 궁정에 진출할 수 있었다. 바시는 귀족들의 사교 모임에 꼬박꼬박 참석했고, 교황 베네딕토 14세 등의 후원을 받아 커리어를 쌓았다.이후 바시는 볼로냐에서 과학의 상징이자 대중의 아이콘으로 ... ...
- [Tech & Fun] 직장과 집만 고집하는 당신, 변해야 ‘동안’된다과학동아 l201612
- 끌려가듯 따라가는 회사 회식자리. 올해도 작년처럼 꿈에서도 마주하고 싶지 않은 과장과 함께 새해맞이 카운트다운을 할 수는 없다. 지긋지긋한 업무 스트레스에 거울 속 지친 내 얼굴이 친구보다 늙어보인다면…, 우리 감정과 노화의 뗄 수 없는 상관관계를 들여다보자. 나이에 비해 동안인 ... ...
-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과학동아 l201612
- 문제의식에서 시작됐다.“인 교수님과는 다른 연구를 위한 미팅에서 처음 만났어요. 그 자리에서 ‘엑소좀’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독성을 평가 해 보고 싶다는 아이디어를 냈는데, 인 교수님께서 관심을 보이셨죠.” 김 책임연구원은 연구의 시작을 이렇게 회상했다. 엑소좀은 세포가 분비하는 30~10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12
- 과학동아가 개최하는 과학 강연 및 토크콘서트 ‘과학동아 카페’가 11월 12일 토요일 서울 용산 동아시아언스 사옥 사이언스홀에서 열렸다. 이번 주제는 매년 10월 초 발표되는 노벨상 해설. 특히 올해 물리학상 수상 주제인 ‘2차원 물질의 상전이’라는 주제가 이해하기 어려워, 이를 쉽게 이해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