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강사"(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학동아의 여덟 번째 생일 파티 초대장을 받고 파티가 열리는 곳으로 가는 중이야. 장소는 무한호텔! 1924년에 생긴 가상 공간, 무한호텔에서 파티를 한다니 왠지 무서울 것 같았는데, 다녀온 사람들은 모두 그곳에 다시 가고 싶어 해. 무한호텔은 어떤 곳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무한호텔의 지배인, 다비드 힐베르트는 모든 방이 꽉 찬 호텔에서 아무도 내쫓지 않고 손님 한 명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모든 손님이 각자 자신이 묵고 있는 방의 번호에 1을 더한 번호의 방으로 옮긴다. 1번 방에 묵는 손님은 2번 방으로, 2번 방에 묵는 손님은 3번 방으로 옮긴 ... ...
- 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나’와 ‘나의 부분’이 같다?기독교 문화 속에 살았던 중세 유럽 사람은 시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창조력을 가진 신을 믿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무한의 정체에 관해서도 끊임없이 논의했다. 대부분은 무한이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라는 데 동의했다. 이렇게 끝도 없이 커지는 상태로만 보 ... ...
- 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Part 1. 웰컴 투 무한의 세계Part 2. 빈 방 없는 호텔에서 묵을 수 있을까?Part 3. 실수 손님도 묵을 수 있을까?Part 4. ‘줄어든’실수 손님은 묵을 수 있을까?Part 5. 무한에 울고 웃는 사람들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인류는 마침내 무한을 수학적으로 정의했고, 유한집합의 성질이 무한집합에서는 통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무한이 무엇인지 확실히 모르면서 무한급수와 미적분을 연구했던 수학자들과 달리 지금은 고등학교부터 무한을 배운다. 하지만 무한은 아직 미지의 세계다. 지금도 인류의 상 ... ...
- [매스미디어] 본격 수학 교양방송 애프터 수-쿨!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수학 방송’이라 하면 강사가 등장해 개념을 설명하거나 문제를 풀어주는 동영상 강의를 떠올리기 쉽다. 즉 공부할 때나 보는 방송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애프터수-쿨은 좀 다르다. ‘수학으로 노는 방송’이라고 한다. 수학을 가르쳐주는 방송도, 문제를 풀어보라고 시키는 방송도 아니다 ... ...
- Part 1. 암의 절대다수는 ‘무작위’로 온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의대를 졸업하고 서울대병원에서 수련의 및 내과 전공의 수료, 혈액종양내과 임상강사를 마쳤다. 서울대병원 근무 중 15편의 SCI 논문을 포함해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암연구학회 중 가장 저명한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Merit award를 받았고, 서울시의사회 젊은연구자상, 한국암재단장학금,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일본 도쿄대 박사학위 수여(물리학)1963~65년 일본 도쿄대 박사후연구원, 강사1965~71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국립자기연구소 연구원1971~97년 일본 아오야마가쿠인대 물리학과 교수김덕주 교수는 금속에서 나타나는 자성에 대해 연구했던 이론물리학자였다. 일본 ... ...
- [Issue] 빈 속에 술 마신 당신 음주거식증 경보!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단기적 기억상실이 지속된다는 것은 뇌의 기억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 임상강사는 “특히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정신적인 혼란이나 우울증, 기억 상실 등을 일으키는 베르니케 코르사코프 증후군까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윤주 교수는 “우리나라는 아직 ...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논문을 발표했어도 남편의 상점에서 조수로 일해야 했어요. 유럽의 대학교들이 여자 강사를 고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에요.독일 수학자 에미 뇌터도 대학 입학 때문에 고생했어요. 뒤늦게 학교를 다녀 교수가 됐지만 남자 교수의 눈치를 봐야 했죠.최근 여성수학자들의 활약 뒤에는 편견을 극복하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