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어요. 여러분이 지금 비행기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밝혀낸 덕이에요. 현대의 천문학자들은 지구를 넘어 우주 곳곳을 파헤치고 있지요. 앞으로 매월 15일 자마다 천문학자가 ... ...
- [가상인터뷰] 계절별미 ‘흰개미’ 즐기는 침팬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캘리포니아대 인류학과 교수팀이 우리가 왜 낚시를 하는지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건기와 우기가 명확한 탄자니아의 이사 계곡에서 우리를 연구했어요. 연도별 기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13개의 흰개미 둔덕에 설치한 트랩 카메라로 계절과 기후에 따른 흰개미의 움직임을 분석했죠. 이를 통해 그들은 ... ...
- [시사기획] 카이스트에서 의전원을? 의사공학자 탄생할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다는 취지였다. 그로부터 약 25년이 지난 지금, 한국은 아직 경쟁력을 다투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4년 1월,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수를 확정할 예정이다(기사 작성일 12월 13일 기준). 국내 의사과학자 양성에도 그에 따른 변화가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
- 생물 이름 짓기 달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나방의 경우, 배의 마지막 마디에 있는 생식기로 종을 구분합니다. ‘종’이라는 건, 서로 교배가 가능한 개체를 묶는 단위예요. 따라서 눈에 잘 띄는 날개 색깔보다는 생식기로 종을 구분하는 게 더 정확하죠. 현미경으로 생식기의 형태를 관찰한 다음, 같은 속에 속하는 모든 종의 생식기와 형태를 ... ...
- [통합과학교과서] 달 도둑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에필로그“해와 달은 줄 수 없지만 조명을 만들어 선물하는 건 어떨까요? 조명이 많다면 까막나라의 어둠도 충분히 밝힐 수 있을 거예요.”꿀록 탐정이 마을 사람들에게 제안했어요. 손재주 좋은 마을 사람들이 모여 조명을 만들기로 했죠. “해와 달을 함부로 가져가려 ... ...
- [퍼즐 마법학교] 전설의 마법사, 프랙탈의 선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 눈오리 몇 마리가 오후의 하늘을 가르고 있었어. 그날 하늘을 반짝반짝 수놓은 건 눈송이였을까, 별이었을까? 우리들의 마법 같은 시간은 그렇게 추억 속으로 스 며들고 있었어 ... ...
- [숫자 뉴스] "2030년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딸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4호
- 체스 사이트나 책을 보고 문제를 풀면서 체스 실력을 쌓아요.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어려운 문제를 만나더라도 끝까지 침착하게 경기를 하는 인내심과 끈기라고 생각해요. 한 수를 두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더라도, 목표를 위해 절대 포기하지 않지요.체스의 여러 가지 규칙 중 어떤 규칙을 가장 ... ...
- [프로포즈상] 인간이 바꾼 바퀴벌레의 프러포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수컷 바퀴벌레가 마음에 드는 암컷을 발견하고는 달달한 선물을 준비합니다. 선물로 암컷을 유인하기 위해서죠. 그런데 최근 선물의 맛이 바뀌었다는 ... 느끼도록 미각을 발달시킨다”며 “생물의 보편적인 에너지원인 포도당을 피하도록 진화한 건 바퀴벌레가 처음”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땀샘 / 슈퍼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4호
- 땀샘은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으로 나뉘어요. 더울 때 땀을 흘리는 역할을 하는 건 에크린샘이에요. 에크린샘은 사람의 입술과 손발톱, 생식 기관을 제외한 모든 피부에 있습니다. 특히 손바닥과 발바닥에 600~700개로 가장 많이 있지요. 체온이 상승하면 뇌에 있는 시상하부가 이를 감지하고 체온을 ... ...
-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첫 탐험지인 ‘다궈예 주상절리’에 가는 길. 대원들의 눈길을 가장 먼저 사로잡은 건 야트막하게 쌓아 올려진 돌담이었습니다. 아스팔트 도로 너머로 에메랄드빛 바다까지 보이니 제주도에 온 듯한 착각이 들기도 했지요. 펑후는 크고 작은 섬으로 이뤄진 군도예요. 제주도처럼 지하에 있던 뜨거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