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모
기진
소진
굶주림
기근
기근기아
결핍
d라이브러리
"
고갈
"(으)로 총 381건 검색되었습니다.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주민들의 모습을 담았다.“태양열 조리기구들은 화석연료의
고갈
에 대한 두려움을 덜었다. 또 이 지역의 등유 소비량을 75%까지 줄여 등유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도 감소시켰다. 태양열로 조리하면 연기가 나지 않기 때문에 개발도상국에서 매연으로 인한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실제로 빗물을 어디에 이용할 수 있는지 그 예를 보여준다. 특히 대도시에서 지하수가
고갈
되거나 하천이 마르는 문제, 축사나 대학 캠퍼스에서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 등 실질적인 예를 들어 쉽게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빗물의 효율적인 관리 방법에 대한 전략을 제시한다.이 책의 ... ...
21세기 지구촌 리더 키우는 탑스라운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다루는 주제는 에너지다. 지난 3월 19일에는 서울대 환경대학원 윤순진 교수가 ‘석유
고갈
, 인류의 재앙인가’라는 주제로 강연했다. 석유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상황에서 유전을 계속 개발하기보다는 사회구조와 패러다임을 소비를 줄이는 방식으로 변화시키는 일이 시급하다는 이야기가 오갔다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현상인 양자 결맞음이 그 단서다.인류는 지난 100년 동안 화석연료를 남용한 결과 연료
고갈
에 따른 에너지 위기와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 위기를 초래했다. 그 대안으로 떠오른 에너지원 가운데 하나가 태양광이다.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꿔주는 태양광발전은 사실 인류의 발명품은 아니다.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이제는 더 이상 석수어의 울음소리를 들을 수 없다. 환경오염과 남획 탓에 어족자원이
고갈
되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조기의 수는 급속히 줄어들었고, 시장에 유통되는 조기도 동중국해의 월동장까지 찾아가서 잡아온 어린 개체들뿐이다. 배가 가라앉을 만큼 많이 잡혔다는 조기 떼는 전설이 돼 버린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싶더군요. 그 오묘한 모습에 반했거든요.”반도체 공정은 연구원들의 체력을 빨리
고갈
시킨다. 때로는 하루 16시간 근무도 견뎌야 한다. 그런데도 이 연구원은 생활이 즐겁다.“엔지니어는 사무직과는 달리 관습에 얽매이는 근무 분위기가 아니에요. 자유로움이 마음에 듭니다. 더 열심히 실력을 ... ...
C4벼로 ‘제2의 녹색혁명’ 꿈꾼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높은 이유는 C4식물은 본래 빛에너지가 충분한 열대 혹은 아열대 태생이기 때문이다.지력
고갈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국제미작연구소 한국주재관 강경호 박사는 “일반적으로 수수같은 밭작물은 수량성이 높은 만큼 양분을 많이 빨아들여 지력을 빨리 떨어트린다”며 “C4벼를 개발한다면 지력을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효율 좋은 에너지’라는 별명도 이처럼 독특한 수소의 성질에서 유래했다. 화석연료
고갈
과 지구온난화 방지라는 목적 외에도 수소가 차세대 에너지로 주목받는 이유는 수소가 너무나 풍부한 자원이기 때문이다. 수소는 물과 화석연료, 생물체 등 지구 어디에든 존재한다. 지구의 3분의 2를 뒤덮고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학교 구내식당에서 저녁을 먹고 4시간 정신노동(보고서 작성!)을 했더니 몸속 포도당이
고갈
됐나 보다.사실 뇌야말로 ‘포도당 도둑’이다. 뇌 신경세포의 시냅스가 활동할 때 포도당이 소모되기 때문이다. 다이어트 비법 가운데 하나가 머리를 많이 쓰는 게 아닐까. 아무튼 뭘 좀 먹고 자야겠다. TV를 ... ...
휴대전화에서 차세대 수소저장물질 찾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소연료전지 발전은 지구에서 가장 구하기 쉬운 수소를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원료가
고갈
될 걱정이 없다. 물론 이산화탄소 같은 온실가스도 배출하지 않는다.지난 2008년 12월 7일 서울시는 노원구 상계동과 양천구 목동에 2010년까지 세계최대규모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