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려대학교
고대
고려대학
d라이브러리
"
고려대
"(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조종하는 극단적인 유전자 결정론을 내포한다며 분노했다. 과학사회학자인 김동광
고려대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원은 2010년에 발표한 논문 ‘사회생물학의 인식론적 경향, 그리고 그 대중적 차원들’에서 “마치 유전자가 자율적 능력과 기제를 갖춘 복제자인 것처럼 과장했다”며 도킨스를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어디까지로 규정할지에 대한 관점의 문제다. 의대와 보건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고려대
보건과학대학 교수로 일하고 있는 저자는 사회역학자로서 차별 경험과 고용 불안 같은 사회적 요인이 결혼이주여성이나 비정규직 노동자, 성소수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의 건강을 어떻게 해치는지 연구해 ... ...
[과학뉴스] 전염병 모기, ‘왕’ 모기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지카바이러스처럼 무서운 전염병을 옮기기도 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배연재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교수팀은 모기 유충의 천적인 광릉왕모기를 사육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월 9일 밝혔다. 광릉왕모기 유충 한 마리는 하루에 모기 유충 약 26마리를 먹는다(왼쪽 사진). 즉, 모기의 천적인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하계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 필자는 김재문 충남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정기영
고려대
안암병원 신경과 교수(현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등과 공동으로 2012년 지리산유스캠프에서 진행된 청소년 마음수련 인성캠프에 참가한 성인과 청소년의 뇌가 어떤 변화를 일으켰는지 조사했다. 캠프에 참가한 ... ...
[과학뉴스] 곰팡이 이기는 식물의 비결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어떻게 대항하는지 구체적인 원리를 찾아냈다.이영숙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와 백경희
고려대
생명과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배추과 식물에 알터나리아 곰팡이가 피었을 때 배추과 식물이 잎의 세포 내에서 독성물질인 카마락신을 분비하고, 이를 ABCG34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잎의 표면으로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우리나라에 현재 사나톨로지스트가 120여 명 있으며 특히 서울대와
고려대
, 부산대 등에서 여러 분야 전문가가 연구하고 학회를 통해 교류하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사나톨로지 같은 학문적 기반이 없이 실용적인 목적만을 위해 ‘존엄사 법’이 생겨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임 회장은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그만큼 구제역 바이러스가 나타났을 때 전파율이 높아진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친환경 복지 축산의 대표주자로 알려져 있는 영국에서도 2000년대 초반 구제역이 유행했다”며 “밀집 사육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기 어렵다”고 밝혔다. 밀집 사육으로 인해 농가 ... ...
[Info] “ 인플루엔자, 대비만 잘하면 위험한 존재 아냐”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명의 강연과 독자들이 자유롭게 질문하고 전문가가 답변하는 시간으로 이뤄졌다. 김우주
고려대
의대 감염내과 교수와 정은옥 건국대 수학과 교수가 각각 인플루엔자의 역사와 수리모델링에 대해 강연했다. 먼저 강연에 나선 김우주 교수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 전인 1919년에 발생한 ‘스페인 ...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충분히 받을 수 있는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국내 반도체 학계의 원로인 김석기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강대원 박사의 업적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강 박사가 발명한 ‘금속산화물반도체전계효과트랜지스터(MOSFET, 모스펫)’가 현재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와 스마트폰의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위해서는 전자칩에 집적시킬 만큼 작은 레이저를 제어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나노레이저의 색을 바꿀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래핀은 전기적 특성은 뛰어나지만 빛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레이저 같은 광소자에 쓰기에는 적당하지 않았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